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대관령 25.2℃
  • 흐림북강릉 28.0℃
  • 흐림강릉 29.4℃
  • 흐림동해 24.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많음원주 26.8℃
  • 구름조금수원 28.8℃
  • 구름조금대전 30.2℃
  • 구름조금안동 30.9℃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고산 26.4℃
  • 흐림서귀포 27.7℃
  • 흐림강화 26.9℃
  • 구름조금이천 28.5℃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조금김해시 30.5℃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많음봉화 29.8℃
  • 구름많음구미 32.0℃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창 32.6℃
  • 구름많음합천 32.5℃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세바코리아

[기고] 도축장의 유행성 폐렴 실태... CLP가 말해주는 것들

세바코리아 농장동물사업부

돼지 폐렴은 다양한 병원체들과 기후 및 환경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농가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기란 쉽지 않으며, 특히 폐사하지 않은 살아 있는 개체들이 어떤 영향을 받았고 이것이 농장에 얼마나 피해를 입히는지에 대해는 알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도축장에서의 폐 병변 검사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호흡기 모니터링에 활용되고 있는데, 세바(Ceva Santé Animale)의 CLP(Ceva Lung Program) 프로그램이 바로 그것이다.

 

세바 호흡기 관리프로그램(CLP)는 실용적인 진단 기법을 활용하여 Mycoplasma hyopneumoniae (M. hyo)와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A.p) 감염에 의한 유행성 폐렴과 흉막폐렴의 병변의 발생과 병변의 심화 정도, 그리고 그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오랜 기간 데이터를 쌓아오며 검증된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현재까지 세바코리아가 여러 농장 및 수의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약 5만두 이상의 비육돈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왔다. 이를 통해 국내 유행성 폐렴의 유병 패턴과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유행성 폐렴은 비육기에서 가장 많이 진단된다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연구한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교(ISUVDL)의 유행성 폐렴 발생 추이 연구 결과를 보면, 최종적으로 우리가 매우 중요하게 다뤄야 할 유행성 폐렴이 비육돈 구간에서의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고 발생 빈도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임상 증상이 없거나 약한 상태로 오랜 시간 폐에 집락화(colonization) 되어 있다가, 다른 병원체 또는 환경 스트레스를 만나며 병변이 심화되는 양상을 의미한다.

 

 

2. 계절적으로는 환절기~겨울철에 가장 위험하다

국내 CLP 1,672 건(총 49,973두)의 월별 데이터를 살펴보면, 미국과 마찬가지로 가을부터 겨울철까지 유행성 폐렴 병변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일교차가 커지기 시작하는 9월 이후 병변이 급격히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가을철 이후 출하돈을 위한 유행성 폐렴 백신 프로그램을 점검하고 사양 관리 전략도 재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3. 복합감염 위험과 진단의 중요성

유행성 폐렴은 PRRSV(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돼지 인플루엔자(Influenza A Virus in Swine), 써코바이러스(PCV2) 등이 유발하는 폐렴과 함께 복합 감염되는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유행성 폐렴은 단독 감염만으로도 호흡기 병변과 성장 지연을 유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위험하지만, PRRS 바이러스나 기타 세균성 병원체와의 복합 감염이 발생할 경우 폐 병변은 훨씬 더 광범위하고 치명적으로 악화된다.

 

특히 최근에는 북미형 리니지1(NADC34-like 또는 NADC30-like PRRSV)의 유행이 증가하면서, PRRS 관련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고 컨트롤을 어렵게 만드는 유행성 폐렴의 예방과 통합적인 관리 전략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CLP(Ceva Lung Program)는 임상 증상만으로는 판단이 어려운 호흡기 질병에 의한 위험 요소들을 실질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적인 모니터링 도구로,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질병에 대응할 수 있게 하는 출발점 역할을 한다. CLP(Ceva Lung Program)을 통한 병변 관찰 및 스코어링과 더불어 조직병리학적 검사, 병원체 특이 검사(부검, 혈청, 구강액 등) 등을 병행한 입체적인 모니터링 평가는 호흡기 질병 컨트롤에 혁신을 전 세계에 불러왔다.

 

 

 

4. 유행성 폐렴 예방: 중요한 건 백신 선택과 데이터

여러 실험과 논문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유행성 폐렴 백신은 만성적 또는 임상적인 질병이 초래하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병원체 배출(shedding)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백신만으로 감염 자체나 호흡기 내 집락화(colonization)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어렵다[1,2,3,4]

 

백신 간 효능의 차이는 사용된 마이코플라즈마 균주(실험실 균주 vs 야외 분리주), 항원 농도, 그리고 부형제(오일-인-워터, 수산화알루미늄겔, 오일 등)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EP index 0.96~3.19). 따라서 유행성 폐렴 백신 선택은 농장 환경과 질병 상황을 고려해, 관련 연구 결과와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수의사와 충분히 상의한 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5]

 

국내뿐만 아니라 아시아 및 유럽의 CLP 데이터는 농장에서 사용하는 유행성 폐렴 백신의 종류에 따라 폐 병변의 양상이 명확히 달라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특히, 야외 분리주(field isolate) 기반 균주와 오일-인-워터 타입의 부형제를 사용한 백신을 접종한 농가에서는 폐 병변이 일관되게 낮은 수준을 유지한 반면, 실험실 균주(laboratory strain)를 기반으로 한 백신을 사용한 농가에서는 병변이 상대적으로 더 심화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접종 시기와 횟수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유자돈에 1회 접종하여, 1회 또는 2회 접종하는 것 모두 효능에 있어 유사한 효과[6,7]를 보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또한 어린 자돈의 보호를 위해 모돈으로부터 면역이 이행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연구도 있다. [4,8]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성 면역(cell-mediated immunity)이 중요한 병원체이므로, 모체 항체에 의한 간섭 우려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자돈의 면역 성숙도를 고려할 때 너무 이른 시기의 백신 접종은 충분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지 못할 수 있다.

 

결론: CLP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CLP(Ceva Lung Program)는 농장의 호흡기 질병을 관리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강력한 도구로, 폐 병변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예측 기반의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호흡기 질병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CLP를 꾸준히 활용할 경우 폐 건강이 안정화되고, 궁극적으로는 농장의 생산성과 경제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실제로 한 연구에 따르면, 유행성 폐렴 지수(EP index)가 0.1 증가할 때마다 일당증체량(ADG)이 약 11g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9]. 이는 폐 병변의 정량적 분석이 생산성 지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는 단순한 캠페인이 아니라, 유럽에서 검증된 신뢰도 높은 과학적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계속 발전되어 나가고 있다.

 

세바코리아는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이라는 유용한 도구를 통해서 앞으로도 실제 농장 데이터를 기반한 현장에 최적화된 호흡기 관리 전략과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안해 나갈 것이다.

 

지금 CLP를 통해 폐 건강을 점검해 보세요. 예방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References:

1.Maes D, Deluyker H, Verdonck M, et al. Effects of vaccination against Mycoplasma hyopneumoniae in herds with continuous system. Zentralbl Veterinarmed B 1998;45:495-505. 2.Maes D, Deluyker H, Verdonck M, et al. Effect of vaccination against Mycoplasma hyopneumoniae in pig herd with all-in all-out system. Vaccine 1999;17:1024–1034. 3.Fano E, Pijoan C, Dee S, et al. Effect of Mycoplasma hyopneumoniae colonization at weaning on disease severity in growing pigs. Can J Vet Res 2007;71:195-200. 4.Pieters M, Fano E, Dee SA, et al. Transmission of Mycoplasma hyopneumoniae to vaccinated and unvaccinated replacement gilts from persistently infected pigs. 2006. In: Proceedings 19th International Pig Veterinary Society Congress, Copenhagen, Denmark. 2006;102..5.Strait EL, Rapp-Gabrielson VJ, Erickson BZ, et al. Efficacy of a Mycoplasma hyopneumoniae bacterin in pigs challenged with two contemporary pathogenic isolates of M. hyopneumoniae. J Swine Health Prod 2008;16:200-206.. 6.Greiner L, Connor JF, Lowe JF. Comparison of Mycoplasma hyopneumoniae vaccination. In: Proceedings of the 42nd Annual meeting Am Assoc Swine Veterinarians, Phoenix, Arizona, 2011: 245-248. 8.Kaiser T, Yonkers TK, Asmus MD, Taylor LP. Mycoplasma hyopneumoniae vaccine administered to pigs at one day of age. In: Proceedings of the 39th Annual Meeting Am Assoc Swine Veterinarians, Dallas, TX, 2009, 157-160. 7.Lilie K, Ritzmann M, Erber M, Heinritzi K. Study on the effect and tolerance of an inactivated one shot vaccine against Mycoplasma hyopneumoniae in pigs at different ages in a farm naturally infected. Der Praktishche Tierartz 87, 2006: Heft 7, 548-552. 8.Molitor TW, Brandrick, M, Pieters M, et al. Maternal transfer of immunity: Role in Mycoplasma hyopneumoniae. In: Proceedings Allen D. Leman Swine Conference, Minneapolis, Minnesota. 2007;75-78. 9. IAHJ, Roman Krejci, Jiří Kalina, Monika Kuncová,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ung Lesion Scores in Slaughter Pigs and their Daily Weight Gain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12,522,067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