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순 전남 영암과 무안의 소 사육농장 16곳(발생건수 14)에서 구제역이 연달아 발생했습니다. 현재 열흘 넘게 추가 발생이 없어 거의 종식 단계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까지 정부의 공식적인 역학조사 결과는 없지만, 해외에서 바이러스가 알지 못하는 어떤 경로를 통해 유입되었고, 일부 발생농장에서 백신 접종이 부실한 가운데 전반적으로 방역관리가 미흡했던 것이 발병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에 백신 접종 강화와 별개로 평상시 방역관리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그런데 정작 이번 구제역 발생농장에 대한 정부(농림축산검역본부)의 잠정 조사 결과 시설 및 방역 관리상의 미흡사항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를 부실하게 한 것이 아니라면 봐주기 라는 의혹이 제기됩니다.
돼지와사람이 16곳 전체 구제역 발생농장에 대한 시설 및 방역 관리상의 미흡사항을 집계한 결과 농장당 평균 지적사항은 3개 이하(2.7)였습니다. 1개만 지적된 곳도 3곳이나 있었습니다. 2개 지적된 곳은 4곳입니다. 3개가 지적된 곳은 5곳이었습니다. 4개는 3곳이었습니다. 5개가 가장 많이 지적된 것이며, 1곳이었습니다.
시설관리에 전혀 미흡사항이 없는 곳도 있었는데 무려 8곳이었습니다. 딱 절반입니다. 이 점은 더욱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방역시설이 특별히 문제가 없었다는 얘기입니다.
구체적인 지적사항은 신발소독조 미비치, 출입기록부 미작성, 외부울타리 미설치, 농장 출입자 소독설비 미설치 등이 대부분입니다. 지연신고로 의심받은 곳은 없었습니다.

이는 ASF 발생 돼지농장에 대한 시설 및 방역 관리상의 미흡사항 조사 결과와는 대조적입니다. 돼지농장의 경우 먼지털이식 조사라는 불만이 나옵니다. 통상 8개 정도로 툭하면 지연신고에 일부 훼손, 부적정, 통로겹침 등의 표현이 등장합니다. 이를 근거로 살처분 보상금이 50% 이상 깎이는 경우가 다발하고 있습니다.
돼지농장에 대해 유독 매서운 잣대를 대고 있지 않나 하는 의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한편 돼지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지난 '18년이 마지막입니다. 당시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혈청형 A형 바이러스가 원인이어서 사실상 감염은 불가항력이었습니다. 이후 '19년과 '23년, 올해 구제역이 발생했는데 1곳(염소)을 제외하고 모두 소 사육농장이었습니다. 돼지농장은 7년 이상 구제역을 잘 막아내고 있습니다.
지난 1월 정부는 올해부터 돼지(비육돈) 구제역 예방접종 미흡농가에 대해서는 구제역 백신항체 검사를 기존 연 2회에서 연 3회로 늘려 관리한다고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