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대관령 -1.7℃
  • 북강릉 1.0℃
  • 흐림강릉 1.3℃
  • 흐림동해 3.1℃
  • 서울 3.2℃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대전 3.3℃
  • 안동 4.5℃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고산 10.9℃
  • 구름많음서귀포 13.4℃
  • 흐림강화 2.2℃
  • 흐림이천 3.7℃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김해시 7.1℃
  • 흐림강진군 8.7℃
  • 흐림봉화 5.0℃
  • 흐림구미 5.8℃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창 4.2℃
  • 흐림합천 7.3℃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세바 ASF 길라잡이

ASF로부터 농장을 음성으로 유지하는 방법(1)

세바 ASF 길라잡이(3) / 출처: 존카 박사, 다니엘 박사 / 번역: 선진브릿지랩(김주한 원장, 제상훈 수의사, 김한기 수의사) / 제공: 세바코리아 양돈기술지원팀 (cevakorea@ceva.com)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최근 발간한 ‘AFRICAN SWINE FEVER PREVENTION, GILT MANAGEMENT AND SUCCSSFUL RESTOCKING’에 실린 내용을 선진브릿지랩의 도움으로 번역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새로운 병원체의 차단은 돼지들과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중요하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최근 전 세계 양돈산업을 가장 위협하고 있는 재앙이며, 꼭 차단시켜야 하는 질병이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모두가 이 질병의 컨트롤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필요에 의해 감염농장 주변의 특정구역 내 돼지들은 전부 제거될 수도 있는데(이를 ‘임시통제구역’이라고 한다), 이 구역은 반경 10km에 이를 수 있다. 하지만, ASF나 돼지열병(CSF)은 이러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국가의 수의기관은 기존의 ‘구제역 컨트롤 전략’을 ASF 방역에 적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새로운 병원체는 감염된 돼지로부터 유입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돼지'라는 용어는 돼지와 관련된 모든 것들을 지칭하며, 돼지 그 자체, 타액, 분뇨, 정액, 그리고 돼지고기(폐사돈부터 햄과 같은 돈육 제품까지 포함) 등이 있다.

 

ASF는 돼지를 빠르게 폐사에 이르게 하지만, 즉각적으로 일어나지는 않는다. 지역간 경계에 설치된 울타리는 최전선에서 농장을 보호하는 수단이며, 이와 함께 농장 주변에도 멧돼지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경계 울타리를 설치해야 한다. 모든 돼지가 ASF로 폐사하는 것은 아니다(약 70% 정도만 폐사). 문제는 생존한 30%의 살아있는 돼지는, 임상증상은 없지만 평생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의사가 농장의 차단방역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양돈장에 대한 전형적인 위험

 

아래 목록에는 양돈장을 위협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중요한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중요도는 여러 상황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1. 외부 돼지

2. 돈육 제품 (햄, 살라미, 소시지, 피자 등)

3. 잔반급여

4. 폐사체수거업자

5. 운송 시스템

6. 의약품 (생백신), 특히 다른 종류의 ASF 바이러스주

7. 다른 돈사나 농장의 피복류

8. 조류, 설치류, 고양이, 개, 파리

9. 인접한 이웃 양돈장

10. 주요 도로의 위치

11. 중고 장비

12. 인공수정과 수정란이식

13. 사료와 물

14. 톱밥 및 짚

15. 급여를 위한 청초(신선한 풀)

16. 돼지를 직접 사육하는 농장관리자

17. 돈육시장, 박람회, 타농장 또는 도축장을 방문한 농장관리자

18. 외부 방문객 (전기 및 가스설비 관리자)

19. 신규 도입설비

 

농장에서 가장 중대한 위험요소는 감염 개체임을 명심해야 한다.

ASF 발생에 있어, 최초의 감염돈을 발견하는 것은 해당 돈사를 이 질병으로부터 구하는 것을 가능케하기에 중요하며, 그러한 돈사를 발견하는 것은 농장을 살리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차단방역은 비용이 적지 않으며, ASF가 지역에 발생 상황에서 가족농장들은 스스로를 보호하기가 어렵다. 연 5,000두 미만의 돼지를 생산하는 농장은 적절한 차단방역을 위해 지불할 자본이 없기 때문에 특히 위험하다.

 

어떻게 ASF가 농장 안으로 들어올까?

 

ASF는 아프리카 내의 멧돼지과(Suidae, 돼지과) 종에서 오랫동안 존재해 왔고, 이들에게 면역을 형성시켰다. 이들에는 워트호그(사진 1), 자이언트 숲멧돼지(사진 2), 덤불멧돼지(사진 3), 그리고 부시피그 종을 포함한다. 아프리카에서, ASF 바이러스는 공주진드기속(Ornithodoros)의 부드러운 몸을 가진 '물렁진드기'에도 존재하며, 1차 숙주이자 주요 확산요인으로 작용한다. 사육 돼지, 멧돼지(Sus scrofa)는 아프리카에서 유래하지 않았으며, 이들은 유라시아의 산림에서 진화하여 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없다. 아프리카의 농장들에 입식 된 후 이 바이러스를 처음 접한 사육 돼지들이 폐사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미국의 페커리(Peccaries)는 ASF 바이러스에 면역이 있다.

 

 

 

ASF 바이러스의 농장 진입을 막기 위해 차단방역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농장의 보건 방역팀는 다음과 같은 잠재적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그림 5):

 

■ 아프리카 외부: 이 바이러스는 감염된 돼지의 모든 체액(특히 침, 구토, 혈액, 분뇨)에 존재한다.

  • 감염된 돼지와의 접촉. 사료나 교미대상을 찾기 위해 농장에 들어오는 돼지들
  • 고기 혹은 육류제품의 섭취. 음식폐기물 및 부적절하게 처리된 잔반. 폐사돈에 의해 물이 오염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과의 접촉. 피복류, 차량 및 기타 장비, 수리용 전기 케이블 등
  • 죽은 돼지로부터의 유래. 인접한 감염농장, 개, 고양이, 설치류, 파리
  • 섭취를 통한 감염. 감염돈의 체액에 오염된 사료나 청초 등 포함
  • 오염된 손과의 접촉. 감염된 육류 및 제품을 취급하여 바이러스에 오염된다. 특히 멧돼지를 사냥한 사람들을 주의해야 한다.
  • 사람들은 주요 위험요소는 아니지만, 그들은 매개체(운송차량) 역할을 할 수 있다.

 

■ 아프리카 내부:

  • 위와 동일
  • 그리고 위의 어떠한 경로를 통하던 멧돼지와 접촉

 

 

ASF 백신에 관한 사항

 

임상시험을 위한 여러 백신 후보가 있다. 그러나 40년 넘게 진행된 백신 개발 시도에도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사독 ASF 백신은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생독 ASF 백신은 ASF를 유발하는데, 바이러스를 줄인 형태에서도 돼지를 폐사에 이르게 하고 아프게 하며, 생독백신을 접종 받은 돼지에 의해 백신을 접종 받지 않은 돼지가 감염될 수 있다. 이것은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할 영역이다.

 

ASF 바이러스에는 24개의 다른 균주가 있으며, 면역학적 측면에서 다른 균주 간의 교차방어가 거의 없다. ASF 바이러스 II 변이주의 백신 후보를 일반 돈군에 노출하고 ASF 바이러스 I 변형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것은 컨트롤을 복잡하게 만들 뿐이다.

 

돼지열병 백신에 관한 사항

 

돼지열병(CSF) 백신 또한 생독백신이지만, 임상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하지만, 이는 감염농장에서 바이러스를 제거하거나 청정화를 유지하려는 시도를 어렵게 한다. E2 gene을 삭제한 균주를 이용한 백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백신은 농장의 돼지열병(CSF) 청정화 인증을 가능케 할 것이다.

 

차단방역 검사 항목(BIOSECURITY CHECKLIST)

 

 

농장 보호를 위한 3구역 시스템(Three-Zone System)

 

농장 내 구역과 농장 외 구역 사이에 완충지대를 만드는 ‘3구역 시스템’이 구상되어야 한다(그림 6).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ASF와 관련한 여러 사건들 사이에서도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정상적인 농장 운영을 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시간과 노력을 아무리 들여도 차량을 적절하게 소독/세척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접 접촉에 의한 병원체 전파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농장 내부와 농장 외부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다음과 같은 세 개의 구역을 운영해야 한다.

 

■ 농장 외부(Off-farm)

■ 준청결구역(Grey zone)

■ 농장 내부(On-farm)

 

 

차량의 청결상태를 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돼지들이 준청결구역을 밖으로 운송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이 운영된다. 준청결구역에 있는 차량은 준청결구역을 벗어나지 않으며 농장 내부 구역으로는 진입하지 않는다. 농장 밖에서 온 차량은 농장 내부 구역으로 절대 진입하지 않는다(그림 7). 농장으로 들어가야 하는 물품들은 오존실과 같은 소독 구역을 통과한다(그림 8). 이러한 3구역 개념은 차량 전용 소독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준청결구역의 어느 정도로 설정해야 할까? 가능한 한 간격을 많이 주는 것이 정답이겠지만, 최소 20m를 제안한다. ASF 바이러스는 도움을 받지 않는 한 약 10m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고양이는 거의 모든 경계 울타리를 뛰어넘을 수 있기 때문에 ASF 컨트롤에 문제가 될 수 있음에 주의하자.

 

농장을 위해 차단방역을 점검할 때 고려해야 할 세부요소

 

돈군 보호 경계 울타리

돈군 보호 경계 울타리 설계

많은 농가의 경계 울타리는 그럴 듯 하지만 대부분의 경계 울타리는 어린 아이들조차 통과할 수 있다. ASF는 현실이며, 교묘한 속임수로 비켜갈 수 없다. 3구역 개념에서 경계 울타리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두 경계 울타리 모두 기능을 제대로 갖추어야 한다.

 

 

농장의 경계 울타리는 반드시 멧돼지를 막을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그림 9-14). 멧돼지는 낮은 휀스를 뛰어 넘을 수 있으며 땅을 파고 들어올 수도 있다. 멧돼지를 염두에 두고 경계 울타리를 설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경계 울타리의 목적은 대부분 사람들이 농장에 쉽게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경계 울타리는 높이 2m, 깊이 18cm으로 땅에 묻혀 있거나, 적어도 지면과 견고하게 접촉되어야 한다.

 

 

 

 

 

경계 울타리 관리

일단 주변에 경계 울타리가 세워지면, 그것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관리자들은 훌륭한 경계 울타리를 만들지만, 풀이 자라면서 경계 울타리가 가려지게 된다. 적어도 매주마다 경계 울타리를 둘러보며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잡초는 경계 울타리 밑부분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그림 15).

 

 

경계 울타리의 밑부분을 보이게 한 후, 파손된 부분과 동물이 침입한 흔적을 확인하는 것은 필수적이다(그림 16-17). 만약 동물(종종 개)이 밤에 들어왔다면, 울타리의 구멍으로 이어지는 이동 흔적이 있을 것이다. 이런 동물들은 밤 동안에 다른 농장을 갔을 수도 있는데, 농장에 진입하기 위한 어떠한 규칙도 그들이 분명히 지키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심각하게 다뤄져야 한다.

 

 

 

경계 울타리의 자연적 진입로

이것은 문을 여닫는 곳이나 배수로 등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틈새에 위치한다. 농장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자연 통로를 동물들이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 위에 철조망을 덧대는 것이 필요하다(그림 18).

 

 

추적

농장 방역팀은 동물들이 남긴 흔적을 읽는 법을 터득해야 한다. 눈이 많은 국가 또는 기후가 덥고 먼지가 많은 국가에서는 동물의 발자국을 읽고 어떤 동물이 울타리를 통과하는지 알 수 있다(그림 19).

 

다음 편에서 계속…

 

세바 ASF 길라잡이

 

※ 위 기고 내용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세바코리아 (070. 8277. 4747 / 카카오톡채널: 세바코리아 / cevakorea@ceva.com)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9,152,919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