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이 정식 개원하고 활동에 들어감에 따라 야생동물 질병대응 체계가 보다 전화되고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부처 소속기관으로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을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환경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 개정안이 9월 2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어 9월 29일 공포·시행된다고 지난 22일 밝혔습니다.
아울러 야생동물 질병업무 수행기관을 기존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으로 변경하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 시행령도 같은 날 의결되어 9월 29일 시행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거동에 위치한 청사에서 질병감시팀·질병대응팀·질병연구팀 등 3개팀 33명으로 구성, 이달 29일부터 즉시 업무에 착수하며, 10월 중에 개원식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야생동물 질병 예찰과 역학조사·방역 등의 위기대응을 비롯해 시료 진단·분석과 백신·치료제 등 대응기술 개발 업무 등을 수행합니다. 또한, 야생동물 감시대상 질병도 확대되어 당장 AI, ASF뿐만 아니라 구제역, 결핵, 돼지열병 등도 포함될 예정입니다.
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최근 메르스, 코로나19 등 전 세계적으로 야생동물에서 유래하는 신종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라면서,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신설로 야생동물 질병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대응을 강화함으로써, 야생동물은 물론 사람과 생태계 전반의 건강성 확보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