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축사 악취저감에 효과가 있는 미생물 3종을 발굴하고 지난달 특허출원을 하였다고 밝혔습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연구진은 앞서 논산 소재 자연순환농업센터에서 액상비료를 제공받아 여기에서 분리한 미생물 50개 균주 중 주요 악취 성분인 암모니아, 아민,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을 유의적으로 저감하는 3개 균주를 찾았습니다.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대전엔시스(Stenotrophomonas daejeonensis NLF4-10) ▶아쿠아마이크로바이움 루사티엔스(Aquamicrobium lusatiense NLF2-7) ▶알카리제네스 페칼리스(Alcaligenes faecalis NLF5-7) 등입니다.
연구진에 따르면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대전엔시스'는 암모니아(84%)와 메틸메르캅탄(81%)을, '아쿠아마이크로바이움 루사티엔스'는 아민(88%)을, 그리고 '알카리제네스 페칼리스'는 황화수소(81%) 등에 대한 저감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연구진은 이들 미생물 3종으로 혼합제를 제조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지난해 8월 상주시 돈사 1개소에 살포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악취저감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그 결과 암모니아를 51%, 아민을 25%, 황화수소를 62%, 스타일렌을 39% 각각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사람이 느끼는 악취강도를 나타내는 총 악취기여도는 35% 저감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12월 특허출원을 완료했습니다.
정상철 미생물연구실장은 “이번 연구로 담수미생물의 축산 악취저감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지역 지자체, 축산농가 및 관련업체와 협업하여 미생물이 축산환경개선제와 바이오필터 탈취시설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번에 발굴한 미생물 3종 관련 보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환경미생물연구팀(054-530-0870)으로 연락하면 됩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