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가정간편식', '푸드테크'.....올해 식품산업에 대한 국민들의 주요 관심분야 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KREI)은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2019년 상반기(1∼5월) 식품산업 주요 관심사항을 분석한 결과 주요 포털(네이버)에 게재된 식품산업 관련 뉴스 중 월평균 1,000회 이상의 많이 언급된 주제어(키워드)는 ‘건강기능식품’, ‘가정간편식’, ‘푸드테크’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식품산업 주요 분야별 언급빈도는 2018년 이후 2019년 5월까지 대체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건강·간편성을 중시하는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및 ‘가정간편식’에 대한 언급은 ’1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키워드 | 2018년 언급빈도 | 2019년 언급빈도(건, %) | |
1~5월(월평균) |
1~5월(월평균) |
증가율 | |
기능성식품 |
10,535(2,107) |
14,016(2,803) |
33.0 |
가정간편식 |
8,521(1,704) |
12,590(2,518) |
47.8 |
푸드테크 |
6,025(1,205) |
6,778(1,356) |
12.5 |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올해부터 기존 정제, 캡슐 등이 아닌 일반식품에도 '건강기능식품'이라 표시할 수 있어 관심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가정간편식'은 주요 소비자층이 1인가구 뿐만 아니라 자녀를 둔 주부 및 중·장년층으로 확대되어, 식품업체들도 안주류·밀키트 등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이에 대한 언급이 전년 동기 대비 47.8%로 가장 높은 관심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식품(Food)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푸드테크'는 4차산업혁명 등의 기술 발전으로 기술기반 창업 및 일자리 창출 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언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관어 분석에서는 ‘건강기능식품’, ‘가정간편식’은 제품 이용을 위한 목적·형태나 효과·효능과, ‘푸드테크’는 관련 기술과 정부 정책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정간편식’의 경우, 이용목적에 따라 “집밥, 혼밥, 반찬, 안주” 등이나 “영양, 맛, 가격, 브랜드” 등 구매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언급이 많았고, “밀키트, 쿠킹박스, 심플리쿡, 홈쿡”등 조리를 간편하게 하는 제품에 대한 국민적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분석 결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자료는 ‘KREI 식품산업 정보분석 전문기관’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