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 분야에서는 전염성 동물 질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대인방역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소독 방법에는 소독제 살포, 자외선 조사, 광촉매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 등이 있지만, 그 효과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대인방역기의 병원균 살균 효과를 검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소독제(차아염소산) 분사 모델과 자외선 단독 및 자외선·광촉매 복합 모델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살균 실험에서, 경수 조건과 유기물적 조건 모두에서 기록된 살균 효과는 표준값을 초과하지 않았다. 소독제 분사 모델은 마네킹의 어깨와 팔에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를 이용한 살균 실험에서 경수 및 유기물 조건 모두에서 관찰된 살균 효과는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았고, 모델 간 현저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소독제 분무 모델은 세균 및 바이러스 실험에서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병원균 감소 경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요약하면, 이 연구에 사용한 대인방역기는 차아염소산수, 자외선 단독 및 자외선·광촉매 복합 모델에서 모두 기준치 이상의 소독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방역기는 약물 노출로 인한 손상, 짧은 물리적 노출 기간, 자체 소독 기능의 부족과 같은 한계가 있다. 이상적인 대인방역기를 제조하는 데 있어 현재 직면한 어려움을 감안할 때, 농장 입장에 있는 사람들의 병원균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 이러한 조치에는 병원균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발 소독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일회용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축산 현장에서 사용되는 3종류 대인방역기의 Salmonella Typhimurium과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 효과 검증, 대한수의학회, 2024]
번역 및 편집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