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6℃
  • 구름많음대관령 21.0℃
  • 구름많음북강릉 23.1℃
  • 구름많음강릉 23.8℃
  • 구름많음동해 24.2℃
  • 흐림서울 23.2℃
  • 흐림원주 25.9℃
  • 흐림수원 24.5℃
  • 흐림대전 24.9℃
  • 흐림안동 26.8℃
  • 구름많음대구 30.9℃
  • 흐림울산 26.7℃
  • 광주 24.5℃
  • 부산 23.1℃
  • 흐림고창 24.1℃
  • 제주 27.6℃
  • 흐림고산 23.6℃
  • 서귀포 24.0℃
  • 구름많음강화 25.2℃
  • 구름많음이천 25.9℃
  • 흐림보은 24.9℃
  • 흐림금산 24.7℃
  • 흐림김해시 24.8℃
  • 흐림강진군 25.2℃
  • 구름많음봉화 26.9℃
  • 흐림구미 25.6℃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창 25.9℃
  • 흐림합천 26.8℃
  • 흐림거제 23.5℃
기상청 제공

돼지유행성설사병

[초록] 제주도의 PED 발생 상황과 병리학적 고찰

'14년 4월부터 18개월 도내 PED 발생 상황 분석 결과 G2b 그룹 바이러스로 판정,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진화 양상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재발생 시점인 2014년 4월부터 18개월 동안의 PED 발생 상황을 분석하고, 감염된 돼지에 대한 병리학적 검사와 함께 분리된 바이러스(PEDV)에 대한 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국과 미국에서 발생하였던 PED 바이러스와 제주에서 분리된 바이러스U의 유전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분리된 총 12주의 PEDV S 유전자를 대상으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각 바이러스의 상동성은 98.9-99.8%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주지역에서 10년 만에 PED가 재발생하였지만, 거의 유전적으로 동일한 바이러스가 돼지에게 전파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PEDV에 대한 계통학적 트리를 작성한 결과 이들 바이러스는 모두 2013-2014년 한국 내륙에서 발생한 PEDV 및 북미형 PEDV에 속하는 G2 그룹에 속하였다.

 

한편 국내 내륙에서 분리된 PEDV의 일부는 같은 G2 그룹에 속하지만 병원성이 비교적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INDELs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이번 제주에서 검출된 12주의 PEDV는 INDELs 그룹과는 동질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Lee 등은 2018년에 제주에서 분리된 PEDV를 G2b PEDV와 비교 분석한 결과 S 유전자 및 전체 유전체 수준에서 각각 96.7-98.7% 및 98.5-99.4% 상동성을 보였다.

 

따라서 유전적 및 계통 발생학적으로 2018년에 제주에서 분리된 PEDV가 기존 2014년 제주 PEDV와 상동성 높기는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상동성이 낮아지고 있어 바이러스가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제주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PEDV와 국내 내륙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PEDV와의 병원성의 차이 및 바이러스의 유연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와 함께 적절한 백신주의 선별 및 효과적인 백신 개발을 통하여 PED로 인한 양돈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제주도의 돼지유행성설사 발생 상황과 병리학적 고찰, 김현주(제주특별자치도 동물위생시험소) 외, 대한수의학회지, 2021] 

 

정리 및 편집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배너

관련기사

배너
총 방문자 수
9,655,314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