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균은 이유 전 및 이유 후 자돈 설사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 병원체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그러나 설사 자돈에서 분리된 대장균의 분포와 독성 유전자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며, 이는 국내 양돈장 현황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연구는 병원성 대장균들이 포함하고 있는 독소유전자(toxin gene)와 선모항원(fimbrial antigen)의 분포를 살펴봄으로 병원성 대장균 관련 질환의 방역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대학교 수의병리학과에서 설사 자돈의 직장 면봉 샘플을 수집했다. 대장균 균주는 VITEK II 시스템을 사용하여 확인했다. 대장균 독성 유전자 10개를 검출하기 위해 두 세트의 멀티플렉스 PCR과 한 세트의 단일 PCR을 사용했다.
그 결과, 하나 이상의 독성 유전자를 코딩하는 총 145개의 대장균 분리주가 확인되었습니다. 이 중 개별 독성 유전자의 유병률 STa 58.6%(85/145), STb 22.1%(32/145), LT 15.2%(22/145), EAST1 24.8%(36/145), Stx2e 6.9%(10/145), F4 31.7%(46/145), F5 1.4%(2/145), F6 11.7%(17/145), F18 4.1%(6/145), F41 0.7%(1/145) 순으로 나타났다.
자돈 설사 유래의 대장균에는 부착인자로는 F4, 장독소로는 STa가 가장 유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EAST1 및 STb를 가진 대장균도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자돈의 대장균성 질병이 단일 독소나 주요 유전자 조합이 아닌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독소 및 그 조합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Virulence-associated genes in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diarrheic piglets in Korea, 함희진(호서대학교 동물보건복지학과), 대한예방수의학회, 2024]
번역 및 편집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