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목요일 오후 정북 정읍에서 돈사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전북소방본부는 14일 오후 3시 41분경 정읍시 달천면에 위치한 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4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만, 재산피해는 컸습니다. 비육사 2개 동(946㎡)이 전소되고 창소 1개 동 일부( 79㎡)가 소실되었습니다. 비육돈도 6백여 마리(634두)가 폐사했습니다. 소방당국은 잠정 피해액을 4억7천만원으로 집계했습니다.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이번 정읍 화재로 이달 돈사 화재는 모두 4건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로 인한 재산피해액은 8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양돈장 화재 예방을 위한 필수 점검 대상 4가지(바로보기)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대한한돈협회 영천시지부(지부장 한동윤)가 지난해 축분비료 수출에 이어 올해는 액비 수출에 성공하며 축분을 활용한 친환경 농자재의 해외시장 진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액비 수출은 국내 첫 사례입니다. 영천시지부는 13일 무계바이오 농업회사법인과 함께 유기질 액상비료 50t(약 2만 달러)을 베트남으로 수출하는 선적식을 진행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김주령 경상북도 농축산유통국장, 이정우 영천시 부시장, 한동윤 대한한돈협회 영천시지부장 등이 참석해 해외수출을 축하했습니다. 영천시지부는 2024년 무계바이오 농업회사법인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7월 축분을 이용한 친환경 유기질 펠릿비료를 베트남에 처음 수출했습니다. 이어 올해 액비를 이용한 친환경 액상비료를 개발해 베트남에 수출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액비는 주로 두리안 농장과 커피 농장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추비로 뿌려지게 됩니다. 과거 무계바이오는 계분을 비료로 가공해 수출해왔으나, 현재는 한돈농가의 돈분까지 포함해 수출 품목을 확대했습니다. 특히 올해 영천시 무역사절단은 430만 달러 규모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로 수출을 진행 중입니다. 무계바이오 류한웅 본부장은 "올해부터 특허등록이 완료
지난해 돈사 화재의 주요 원인은 여전히 전기적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정기적인 전기 설비 점검의 필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습니다. 소방청이 최근 발간한 '2024년 화재통계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한 해 동안 발생한 돈사 화재는 총 147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로 인한 재산피해액은 288억6천만원, 인명피해는 6명(부상)이었습니다. 147건의 돈사 화재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적 요인이 96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3건 가운데 2건에 해당했습니다(65.3%). 세부적으로 전류가 폭증하는 현상인 '단락'으로 주로 불이 일어났습니다. 단락은 전선 피복 손상, 설비 노후화, 배선불량 등으로 일어납니다. 원인을 특정하지 못한 ‘미상’ 화재도 34건으로 2위를 기록해, 화재조사의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도 10건이었습니다. 나머지는 기계적 요인 3건, 화학·자연적 요인 각 1건, 기타 2건 등이었습니다. 재산피해액은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가 145억 3천만원으로 전체 재산피해액의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소방 관계자는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는 대부분 노후 설비, 부적절한 시공, 관리 부주의가 원인”이라며 “정기 점검과 예
오늘(12일) 중앙재난안전 상황실은 지난 10일 기준 농업정책보험금융원에 신고된 폭염 돼지 폐사 신고두수는 잠정 8만4,159마리(5.30-8.10)라고 밝혔습니다. 불과 7일 만에 또 다시 1만4천마리가 증가했습니다(관련 기사). 하루에 2천마리씩 늘어난 꼴입니다. 또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폐사 신고두수(4만5,479마리)와 비교해 거의 두 배 수준입니다(1.85배). 역대 최고 기록입니다. 한편 기상청은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일시적으로 기온이 내려가겠으나, 당분간 최고체감온도 31도 이상 올라 무덥겠다고 예보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올해 돈사 화재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었지만, 피해 규모는 오히려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전국 돼지농가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85건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93건보다 다소 줄었습니다. 그러나 재산피해액은 220억7천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억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화재 발생 건수는 줄었지만, 건당 피해 규모가 커진 것입니다. 또한, 인명 피해도 지난해 2명에서 올해 3명으로 늘어 안전 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요구됩니다. 특히, 올해 3명은 사망 1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상당수의 화재 원인은 전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2023년 소방청이 발간한 '화재통계연감'에 따르면 돈사 화재 발생 원인 가운데 절반 이상은 전기적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관련 기사). 결국 평소 전기 점검만 잘해도 화재 예방의 절반을 하는 셈입니다. 한 소방 관계자는 "축사 화재는 구조적 취약 요인을 사전에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양돈장 화재 예방을 위한 필수 점검 대상 4가지(바로보기)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오늘(6일) 중앙재난안전 상황실은 지난 3일 기준 농업정책보험금융원에 신고된 폭염 돼지 폐사 신고두수는 잠정 7만148마리(5.30-8.3)라고 밝혔습니다. 5일 만에 또 다시 1만 마리가 증가했습니다(관련 기사). 7만148마리는 지난해 같은 기간 폐사 신고두수(2만7,076마리)보다 2.6배 더 많은 수준입니다. 물론 역대 최고 기록입니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평균 기온은 27.1도로, 1994년 7월(27.7도)에 이어 두 번째로 더웠던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폭염일(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은 14.5일로 세 번째로 많았습니다. 남은 여름도 폭염과 폭우가 반복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지난 토요일 전남 고흥에서 3억원 이상 피해 규모의 대형 돈사 화재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전남소방본부는 2일 낮 12시 9분경 고흥군 대서면에 위치한 한 양돈장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추정되는 불이 나 3시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불로 철골조 돈사 5개 동 가운데 3개 동이 전소되고 돼지 4백여 마리가 폐사해 소방서 추산 3억4천2백만원 상당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잠정 전기 단락으로 인해 불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보다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이번 화재로 이달 들어 돈사 화재는 모두 3건으로 늘어났습니다. 전날인 1일 강원 홍천과 전북 익산에서도 돈사 화재 사고가 있었습니다. 재산피해액은 둘 다 1백만원 전후로 경미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폭염에 의한 돼지 폐사두수가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6만두를 넘어섰습니다. 역대 최고 기록입니다. 1일 중앙재난안전 상황실에 따르면 지난 30일 누적 기준(5.20~7.30.)으로 농업정책보험금융원에 신고된 폭염 돼지 폐사신고두수는 잠정 6만160마리입니다. 3일 만에 1만 마리가 증가한 셈입니다(관련 기사). 6만160마리는 지난해 같은 기간 1만9,224마리보다 3배 이상 수준입니다. 8월입니다. 이달에도 폭염과 열대야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폐사두수는 당분간 늘어날 전망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