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귀 혈종(ear hematoma)을 관리하기 위한 두 가지 치료 옵션을 비교하고 혈종이 성장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혈종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것이 혈종을 절개하여 축적된 혈액을 배출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절개한 귀는 절개하지 않은 귀보다 감염될 확률이 높았다. 하지만 혈종이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은 차이가 없었다. 귀를 절개한 돼지는 절개하지 않은 돼지보다 첫 1-2주간 ADG(일당증체)가 더 낮았다. 따라서, 귀를 절개하면 혈종으로 인한 통증이 줄어들고 그 결과 돼지가 더 많이 먹게 된다는 기대는 입증되지 않았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Management of ear hematomas in pigs, Cate Dewey(Population Medicine, University of Guelph), Journal of Swine Health and Production, 2018] 번역 및 편집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이번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온도에서 10가지 PRRS 바이러스(이하 PRRSV) 균주(1가지 PRRSV1과 9가지 PRRSV2)의 생존율을 비교해 병의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예방 및 통제 조치를 개발하거나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PRRSV1(유럽형) Lelystad PRRSV2(북미형) 1-8-4, 1-4-4 MN, VR-2332, 1-4-2, 1-26-2, 1-7-4, 1-4-4 SD, 2-5-2 및 ATP 백신 균주 이들 균주를 MARC-145 세포주에서 증식시켰다. 24-웰 플레이트(well plates)의 웰 바닥에 바이러스를 웰(well)당 100µL로 접종했다. 바이러스 접종이 건조된 후 플레이트를 3가지 온도(4°C, 실온[22°C-25°C] 또는 37°C) 중 하나에서 보관했다. 생존한 바이러스를 다른 시점에 용출한 다음 적정했다(titrated). 그 결과 10가지 균주 모두 4°C에서 최소 35일 동안 생존했다. 다만 생존율에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균주 1-7-4, Lelystad, 1-8-4, VR-2332, 1-4-2, 1-4-4 MN의 생존율은 다른 5가지 균주(0.01%-0.03%)보다 높았다(0
PRRS에 대한 백신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살균 면역(sterilizing immunity)'을 제공하는 것은 없다. '이버멕틴(ivermectin)'은 항기생충 제제이나 항암, 항바이러스, 항진균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비상업적 조건에서 강독주 PRRS 바이러스(1-4-4 L1C, 이하 PRRSV)를 공격 감염시킨 후 돼지에 피하 투여한 이버멕틴의 잠재적 효능을 시범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참고 기사). 이를 위해 총 50마리의 비육돈을 두 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0일째에 모든 돼지에 PRRSV를 공격 감염을 실시했다. 그룹 1의 돼지에게는 '공격 감염 후(DCP)' 1일과 3일에 이버멕틴 약 500 µg/kg을 피하 투여했다. 그룹 2의 돼지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DCP 1, 3, 5, 7, 10, 14일에 각 돼지에서 혈청을 채취하여 '정량 중합효소연쇄반응(qPCR)'을 통해 PRRSV 수치를 개별적으로 검사했다. DCP 14일에는 돼지의 체중을 측정하고 안락사 시킨 후 폐를 해부하여 폐 병변을 채점했다. 각 폐에 대해 '기관지 폐포 세척(BAL)'을 실시하고 qPCR을 통해 바이러스 수치를 측정했다. 부
흉막폐렴균 혈청형 15형은 호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호주에서의 주된 혈청형이다. 빈도는 낮지만, 북미와 남미, 일본 등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2010년부터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수의진단연구소에서 혈청형 15형이 가끔 진단되었다.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아이오와 중부의 20개 양돈장에서 심각한 임상 수준의(severe clinical) 호흡기 질병과 '주간 사망률(weekly mortality)'이 최대 5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흉막폐렴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혈청형 15형이 질병의 원인균으로 확인되었다. 발병 사례 급증과 관련된 차단방역 위험(biosecurity hazards) 및 역학적 측면을 알아보기 위해 발병 조사를 실시했다. 여기서 미국에서 흉막폐렴균 혈청형 15형이 드물게 진단된 적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였다. 조사 결과 모든 농장의 차단방역에 심각한 격차가 있었고 제3자 서비스 제공업체에 크게 의존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이 병원균 확산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Outbreak investigations of Actinobacillus
본 리뷰는 PRRS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서로 다른 공기 여과 시스템을 사용하는 프랑스와 북미에서 얻은 결과를 검토한 것이다. 프랑스에 설치된 대부분의 시스템은 '고효율 미립자 공기(HEPA)' 필터와 '양압 환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반면, 북미의 경우 초기에는 주로 '음압 환기 시스템'과 '최소효율등급(MERV)' 값이 14~16인 필터를 사용했다. 후자를 사용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PRRS 바이러스 사례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HEPA 필터를 설치하면 PRRS 바이러스 사례가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다. 이 필터를 사용한 농장의 95%에서는 단 한 건의 사례도 기록되지 않았다. 2건의 발생 사례의 경우 역학조사에서는 차단방역 위반이 감염의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Air filtration to prevent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infection, Robert Desrosiers(ABVP) 외, Journal of Swine Health and Production,, 2023] 번역 및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
"올바른 판단, 올바른 방법으로 고통받는 돼지를 위한 마지막 배려-안락사” 들어가며 그간 현장에서는 생산성이 떨어지는 개체에 대한 제거를 도태(on farm slaughter)라는 용어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 도태의 과정(도태의 결정, 도태의 시기, 도태의 방법)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었고 동시에 생명을 경제적인 가치로만 판단하여 돈군으로부터 제거를 결정함으로서 외부인의 시각에서 굉장히 부정적으로 인식이 될 소지가 다분했다. 이에 미국 양돈협회와 양돈수의사회 등에서는 동물복지적인 측면에서 도태를 바라보기 시작했고 도태라는 용어 대신 농장동물에게도 '안락사(Euthanasia)'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부적절하게 실시된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비판 제기 미국에서 언론을 통해 방영된 농장의 잠입 촬영 영상(Farm Undercover Video)에 가장 빈번하게 등장한 것이 그간 농장에서 행해졌던 도태에 관련된 영상과 모돈 스톨에 대한 내용이었다. 특히 부적절한 방법으로 행해진 도태 장면은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고 농장에서 일상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도태를 동물학대라고 인식하는 분위기가 커졌다. 이에 미국 양돈업계에서는 농장에서 ‘사회적인 용
제 48회 미국양돈수의사회 연례 세미나가 현지 기준 25일부터 28일까지 콜로라도 덴버에 위치한 하얏트 리전시 덴버 호텔에서 개최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하나의 세계, 하나의 건강, 돼지에 대한 하나의 열정(One World, One Health, One Passion for Pigs)'이라는 주제로 북미대륙 및 전 세계 약 1000여 명의 수의사와 양돈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을 했습니다. PRRS 등 질병 뿐만 아니라 항생제 이슈, 사양 관리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4일 간에 걸쳐 열띤 강의와 주제 토론이 이어지고 있으며 프로시딩은 388 페이지에 달합니다. '돼지와사람'은 앞으로 본 세미나에서 논의된 주제를 간단히 요약해 순차적으로 제공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