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돈 초기 건강관리, ‘단순화’와 ‘효율화’의 균형을 맞추다! 돼지의 생애 초기에는 자돈의 이유 전후 생존율과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처치들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생후 며칠 이내에 철분제(글렙토페론)와 항콕시듐제(톨트라주릴)를 투여하고, 이유 전에는 써코바이러스 및 마이코플라즈마(유행성 폐렴) 백신을 접종한다. 특히 최근에는 항생제와 사료 내 산화아연 사용이 제한되면서, 이유 후 자주 발생하는 '부종병(Edema Disease, 이하 ED)'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 접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자돈에게 흔히 발생하는 '철분결핍성 빈혈(IDA)'과 '콕시듐증(Swine Coccidiosis)'은 원샷 복합주사제 포세리스(철분 + 항콕시듐제)를 통해 간편하게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이유 이후 '시가톡신 생성 대장균(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STEC)'이 분비하는 시가독소(Stx2e)에 의해 발병하는 부종병은, 어린 자돈에 에코포크 시가(Ecoporc Shiga)를 접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자돈의 스트레스는 줄이고, 효율은 높이고! 국내외에서는 자돈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농장의
MSY는 Marketted-pigs per Sow per Year의 줄임말로서 '년간 모돈당 출하두수'를 말합니다. 우리나라 양돈산업에서 대표적인 양돈 생산 지표로서 널리 사용됩니다. MSY가 농장의 절대적인 생산 지표가 될 수 없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워낙 농장생산성이 양돈선진국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고 수요 대비 생산이 적어서 매년 많은 돼지고기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상황에서 MSY가 생산성의 주요 지표로서 주목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입니다. 주요 양돈선진국과 우리나라의 MSY를 비교해보면 2015년 기준 우리나라 MSY는 17.9두로서 덴마크 29.2두와 11.3두 차이가 나며, 네덜란드(28.1두)와는 10.2두, 독일(27.2두)와는 9.3두가 차이가 납니다. 미국(23.0두)과 캐나다(22.7두)와도 각각 5.1두, 4.8두 차이가 납니다. 다른 대표적인 양돈 생산 지표로서 PSY가 있습니다. PSY는 PigsWeanedper sow per year 의 줄임말로서 '년간 모돈당 이유자돈수'를 말합니다. 앞서 MSY와 마찬가지로 주요 양돈선진국과 PSY를 비교하면 MSY 차이 보다는 적지만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