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가 도입한 공익형 직불제에 대한 국민적 인식 및 공감대 형성을 확인하며, 직불제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근거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농업의 공익적 기능의 실질적 혜택을 누리는 도시민을 대상으로 농업의 공익적 기능 유지 및 확산을 위한 지불 의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는 농업의 공익적 기능에 대해 전혀 들어보지 못하거나 들어본 적은 있지만 내용은 잘 모른다는 응답 비율이 전체 응답자 중 약 66.7%로 나타났다. 특히,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있는 응답자는 약 2.4%로 나타나 농업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는 농업이 제공하는 공익적 기능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 및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이 제공하는 공익적 기능별 동의 여부와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농업의 공익적 기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농업의 환경정화 기능, 식품 안전성 보장 기능, 어메니티 기능, 재해방지 기능 등에 상대적으로 높은 긍정적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이 제공하는 공익적 기능에 대해 도시민이 평가하는 경제적 가치 추정 결과, 저항 응답자를 제외할 경우 월기준 평균 지불의사액이
우리나라는 곡물 주요 수입국으로, 국제 곡물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의 영향을 그대로 받기 때문에 국제 곡물가격 변동에 대한 국내 곡물가공산업의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전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ARDL 모형을 통해 국제 사료원료가격지수가 우리나라 양돈용 배합사료가격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가격전이 체계를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료원료를 옥수수와 대두박으로 구분하였으며, 국제 사료원료가격지수가 사료원료 수입가격지수, 양돈용 배합사료가격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단계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제 사료원료가격지수가 사료원료 수입가격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에서는 국제 사료원료가격지수 모두 사료원료 수입가격지수에 대한 가격전이의 비대칭성은 장⋅단기에서 나타나지 않으며, 국제 대두박가격지수가 국제 옥수수 가격지수에 비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1.40배 사료원료 수입가격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원료 수입가격지수가 양돈용 배합사료가격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에서는 옥수수 수입가격지수가 대두박 수입가격지수에 비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양돈용 배합사료가격지수에 1.11배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 수입가격
한국의 돼지고기 시장은 삼겹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소비 편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소비 편향은 한국의 육류 위주의 식문화가 구이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비선호 부위 재고 적체를 일으켜 중간 유통업계의 수익성 악화와 삼겹살 가격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으며, 왜곡된 가격은 결국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하고 양돈농가의 경영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돼지고기 소비편중으로 인한 비선호 부위 재고 증가가 선호 부위인 삼겹살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13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월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비선호 부위 재고와 선호 부위 재고가 각각 삼겹살 부분육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ARDL 모형과 ARDL-EC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RDL 분석 결과, 비선호 부위 재고가 상승할수록 삼겹살 가격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호 부위 재고 또한, 삼겹살 부분육 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RDL-EC 모형에서 비선호 부위 재고 및 선호 부위 재고 모두 삼겹살 가격과 장기적인 관계를 보이지만, 단기적인 관계에서는 비선호 부위 재고만 삼겹살 가격과 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