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PRRSV)'는 유전적 다양성이 높고 독성 수준이 달라 질병 관리와 백신 개발을 복잡하게 만들고, 그 결과 전 세계 양돈산업에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일 세포 전사체학(single-cell transcriptomics)'을 포함한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병원성을 가진 PRRSV 균주(JB15-N-M8-GN; NA8, JA142 및 JB15-N-PJ10-GN; NA10)에 따른 '기관지폐포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의 면역 세포 구성의 종단적 변화(longitudinal changes)와 임상 결과를 평가했다. 고(高) 병원성 감염의 경우 바이러스 복제 속도가 빨라지면 폐 손상 시간의 피크가 더 일찍 발생한다. 이때, 심각한 간질성 폐렴, 대식세포의 현저한 감소, 림프구의 유입이 나타난다. 바이러스 추적 결과 대식세포의 5% 미만이 직접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분석 결과 주변 세포의 사멸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엑소좀 마이크로RNA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조절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중간 정도의 병원성 감염의 경우, 폐 손상 시간의 피크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은 전북대학교(김원일 교수팀), 중앙대학교(김준모 교수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른 호흡기 감염 경로 차이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4주령 돼지에 각기 다른 강도(저, 중, 고)의 병원성 PRRS 바이러스를 접종하고, 임상 증상과 기관지 내 세포의 유전자 발현 정보를 분석하고, 면역반응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PRRS 바이러스는 핵심 면역세포인 '폐포 대식세포'를 감염시키는데, 바이러스의 병원성 차이에 따라 감염된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면역 관련 대사물질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고 병원성 바이러스는 빠른 증식으로 간질성 폐렴을 유발하고 면역세포를 감소시키고 림프구 유입을 증가시켰으나, 중·저 병원성 바이러스로 인한 폐 손상은 상대적으로 완만했으며, 면역세포 구성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또한, 감염된 세포가 비감염 대식세포의 감염을 유도하는 것도 확인했습니다(감염 세포 유래 엑소좀 microRNA →비감염 대식세포(Bystander cell)의 사멸 유도). 중병원성
[본 글은 '우리는 차세대 축산리더 수기사례집' 내용 중 일부입니다. 스마트제조혁신협회 동의 하에 싣습니다. -돼지와사람] “야 머리가 나쁘면 부지런하기라도 해야될 거 아니야… ” ’18년도 수능을 마치고 그저 그런 수능 성적으로 그저 그런 지방대학으로 들어갔을 때 처음 알바했던 곳에서 사장님한테 들었던 말이다. 이런 말까지 들어가면서 일을 해야 하나 싶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내가 공부를 안했으니까 그런거야”라고 스스로 타협하게 되었다. 서울대 형, 공기업 다니시는 아버지, 가족 안에서 나는 언제나 위축되어 있었다. 점점 나 자신에 대한 의미를 잃어갈때쯤 군대에 들어갔다. 육군 수색대 들어간 나는 팔굽혀펴기 1개도 못하는 나였지만 반년 뒤에는 2분에 90개를 이뤄냈다. 매일 운동하면서 미칠 듯이 힘들었지만 하루하루 발전하는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전역 후 “나도 할 수 있다”라는 마음을 가지고 잠도 줄여가면서 편입 공부를 했다. 결국, 목표하던 대학에 들어가게 되었고 축산분야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던 나를 위해 교수님이 Cargill이라는 회사가 ESG 사업으로 추진하는 ‘차세대 축산리더 아카데미’를 추천해주셔서 이론부터 현장실습까지 이제 시작하는 나한
돼지의 사육과정에 있어서 대표적인 사육환경의 변화는 '합사'라고 할 수 있다. 돼지를 합사하는 것은 야생상태의 돼지의 습성과 맞지 않는 것으로 합사된 돼지는 매우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러므로 돼지의 사육 및 관리에 있어서 합사에 의한 부정적 상호작용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돈군의 크기를 달리했을 때 육성돈의 행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돈사별 합사 밀도(6개체, 10개체, 13개체)를 달리하고 합사후 1일, 20일, 40일에 하루 8시간씩 돼지의 행동을 디지털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촬영된 영상을 바탕으로 육성돈의 행동 유형별 지속시간과 빈도를 분석하였다. 휴식 행동이 전체 연구기간 동안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기타 개체유지행동과 기타 사회 행동을 제외한 모든 육성돈의 행동은 돈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대 행동과 벨리 노우징, 인접한 돈방 개체와의 상호작용, 꼬리 물기 및 승가 행동은 고밀도 돈사에서 다른 돈사에 비해 매우 높았다. 육성돈의 일당증체량과 유형별 행동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적대 행동과 벨리 노우징, 승가 행동이 일당증체량과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은 한국 재래돼지와 요크셔 품종을 교배해 생산한 돼지의 성장 기간에 지방형성을 조절하는 특성 변화와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종류를 확인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농진청에 따르면, 한국 재래돼지는 지방구조가 탄력적이고 근육 내 지방 침착이 우수하지만, 성장은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성장 능력이 우수한 품종인 요크셔와 듀록을 이용해 3원 교잡 형태의 품종을 만들어 상업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농진청 연구진은 한국 재래돼지와 요크셔를 교잡해 생산한 자돈기(10주령)와 비육기(26주령) 돼지의 복부 지방에서 다중오믹스(Multi-omics;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후성 유전체, 대사체 등 분자 수준에서 생성된 종합 데이터) 정보를 분석한 후 유전적인 특성을 비교했습니다. 분석 결과 성장단계별로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들과 유전자의 발현 조절에 영향을 주는 DNA-메틸화 영역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유전자 기능분석을 통해 지방형성, 지질대사 조절, 세포분화 등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유전자(PPARG)를 발굴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에니멀 사이언스(Journal of Anim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