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은 이유 후 1일에서 28일 사이에 환경적 풍부함에 대한 이유자돈의 성장, 행동, 복지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 초기 체중(BW)이 6.56±0.17kg인 이유자돈 240마리를 초기 체중을 기준으로 4가지 처리 중 하나에 무작위로 배정했다. 펜당 돼지 10마리씩, 각 처리에 대해 6회 반복했다. 실험적 처리는 대조군, EE-1(이유 후 1주일까지 놀이 물건 포함), EE-2(이유 후 2주까지 놀이 물건 포함), EE-4(이유 후 4주까지 놀이 물건 포함)로 구성되었다. 실험 결과 EE-2 및 EE-4 처리구의 '일일 평균 증체량(ADG)'이 더 높았다(p = 0.002). '일일 평균 사료 섭취량(ADFI)'(p = 0.016)은 1단계(이유 후 0-14일)에서 EE-2 처치구에서 증가했다. EE-4 처리구는 2단계(이유 후 15-28일)에서 대조구보다 ADG(p = 0.039)과 ADFI(p = 0.030)가 더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도 더 높았다(ADG: p = 0.006, ADFI: p = 0.014). 풍부한 환경 처리구(EE-2 및 EE-4)는 대조구보다 1단계(p = 0.006)와 2단계(p <0.001)에서 BW 균일도가
지난 28일 충북 청주에 위치한 제이원호텔 회의실에서 'MSY 개선 프로젝트: CLP 방법론 및 실증 사례'를 주제로 한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이날 세미나는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 주최했으며, 전국에서 활동 중인 돼지 전문 수의사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습니다. ▷폐 병변 검사 필요성과 감별방법(채찬희 교수, 서울대학교) ▷흉막폐렴 컨트롤과 CLP 이용 실사례(박병배 원장, 에스벳동물병원) ▷CLP 한국 및 유럽 현황(이현준 차장, 세바코리아) 등이 발표되었습니다. CLP는 글로벌 세바에서 전 세계적으로 운영 중인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EVA LUNG PROGRAM)'을 말합니다. 테블릿 PC와 전용 앱을 이용한 호흡기 전용 도축검사 도구입니다. 사진기와 녹음기, 검사서, 필기구 등을 이용한 기존 도축검사 방법에 비해 비육돈의 호흡기 문제들을 보다 쉽고 빠르게,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검사 직후 보고서가 바로 생성됩니다. 벤치마킹도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농장에서는 적절한 예방접종 프로토콜, 사양관리 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돈군 호흡기 건강상태를 점점 증진시킴으로써 농장 수익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첫 발표에 나선 채찬희
백신을 선정하는 기준은 ▶효능 ▶안전성 ▶경제성(수익) ▶편리성 ▶동물복지 등 5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경제성'은 투자 대비 수익, 투자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 순이익/비용*100)을 말합니다. 사료요구율(FCR; 사료효율), 일당증체량(ADG), 폐사율(Mortality)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마리당 백신 비용이 1000원이고 이를 통해 사료절감 및 출하증가 등으로 6000원의 경제적 효과를 얻었다면 ROI는 5.0(5000원/1000원)입니다. 백신 선정 시 단순 단가 비교뿐만 아니라 ROI 검토가 요구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PRRS)은 PRRS 바이러스(PRRSV) 의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으로, 국내 양돈산업에 연간 천억 원 이상의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을 입히고 있는 중요한 질병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팀은 사전 연구를 통해 GBP1E2의 SNP로 인해 유전형이 AG(GBP1E2-AG 혹은 heterozygous)일 때 PRRSV에 대한 숙주의 저항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근에 GBP5의 SNP로 유전형이 GT(GBP5-GT, heterozygous)일 때 PRRSV에 대한 숙주의 저항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국내 일반적인 농장에서 이들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자돈은 5∼ 10% 정도만 발견되기 때문에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웅돈과 모돈 선발을 통해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자돈의 생산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전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PRRS 저항성 유전형(heterozygous)의 자돈을 생산하기 위하여 GBP1E2-GG형의 웅돈을 선발하고 GBP1E2-AA형의 모돈과 교배를 통하여 heterozygous 유전형의 자돈의 생산이 증가되는지
한국히프라가 지난주 31일과 1일 각각 이천과 대전에서 이틀 동안 '효율적인 생산성을 위한 데이터 분석'을 주제로 '히프라 유니버시티'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히프라 유니버시티'는 글로벌 히프라가 추진하고 있는 전문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국내외 연자를 통해 질병 예방 관련 최신 업데이트 된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첫 연자로 나선 쇼케(Sjouke Van Poucke, 벨기에 SYNplus 대표) 수의사는 벨기에 양돈산업의 최근 현황을 소개하면서 벨기에 양돈산업 또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비용은 증가하고 수익은 감소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관련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확한 의사 결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쇼케 수의사는 "시장 상황이 불안전하고 사업의 수익성이 낮아진 상황에서 데이터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라며, "최소 일년에 한 번 (농장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농장 상황에 맞는 개선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개선 방안을 적용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이어 알렉스 수의사(Alex Wu, 글로벌 히프라)는 히프라의 통계 분석 서비스인 'Hiprastats(히프라스탯)'를 소개했습니다. '히
서론 PRRS 감염이 발생하였을 때 자돈에게 백신을 동시에 접종하는 경우 백신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써코백(Circovac®)'은 모돈과 자돈에 사용하도록 등록된 PCV2(돼지써코바이러스 2형) 백신입니다. 자돈과 함께 필요한 경우 모돈에 대한 백신 접종은 돼지의 'PCVAD(돼지써코바이러스 연관 질병)'의 임상증상 및 준임상증상을 제어하는 데에 있어 효과적인 전략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PCV2 백신 접종 프로그램의 최적화를 통해 비육돈 단계의 생산성적을 개선하는 것이었습니다. 재료 및 방법 이번 연구는 모돈 1200두 규모의 일반 자돈 생산농장에서 수행되었습니다. 자돈은 생후 4~6주령에 PCV2 백신을 접종하였습니다. 이들은 해당 시기에 PRRS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습니다. PRRS 감염과 동시에 자돈 백신 접종을 피하기 위해 PCV2에 대한 대체 백신 접종 프로토콜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룹 1: 생후 4주령 자돈에 써코백®으로 PCV2 백신을 접종 그룹 2: 임신 90일차 모돈과 10주령 자돈에 써코백®으로 PCV2 백신을 접종 2년 기간 동안 두 그룹을 비교하였습니다. 결과는 통계 분석하였습니다(parametric test
필수 아미노산 중 라이신은 체내에서 영양소 이용과 같은 생리적인 대사과정에 관여하며, 특히 단백질 합성과 같은 근육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육성돈 사료 내 라이신의 충분한 공급은 근육 축적과 더불어 전반적인 돼지의 성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료 내 라이신 수준이 육성돈의 성장, 영양소소화율, 혈액성상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108두의 3원 교잡 육성돈(Landrace×Yorkshire×Duroc; 24.86±1.84 kg)을 공시하였으며, 개시체중에 기반하여, 3처리 18반복, 반복당 2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기간은 'phase Ⅰ(25-50 kg)', 'phase Ⅱ(50-75 kg)'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시험구는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라이신 요구량에 기반된 대조구(CON)와 라이신을 대조구 대비 각각 5%(HL5), 10%(HL10) 증량된 처리구가 포함되었다. Phase Ⅱ에서 HL10 처리구의 사료효율이 CON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Overall(25-75kg)'에서 HL10의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가 양돈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25년과 '30년의 돼지 개량목표를 지난 26일 고시했습니다. 이번 고시에 따르면 총산자수의 경우 랜드레이스는 연간 0.11두씩 개량해 '25년까지 13.75두, '30년까지 14.3두로 개선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요크셔는 연간 10.12두씩 개선해 '25년 14.24두, '30년 14.84두가 개량 목표입니다. 생존산자수의 경우 랜드레이스는 '25년 12.54두, '30년 12.99두, 요크셔는 '25년 12.98두, '30년 13.48두 등을 목표로 각각 개량하기로 하였습니다. 90kg 도달일령의 경우 랜드레이스는 '25년 143일, '30년 142일이 새 개량목표입니다. 요크셔는 '25년 142.55일, '30년 141.3일, 두록은 '25년 132.3일, '30년 130.3일입니다. 이를 위해 랜드레이스, 요크셔, 두록의 일당증체량을 연간 1.2g, 1.2g, 3.0g씩 개선합니다. 등지방두께의 개량 목표는 현행('20년) 목표와 동일합니다. 랜드레이스, 요크셔, 두록 각각 12.5㎜, 13.0㎜, 12.5㎜ 등입니다. 또한, 농식품부는 올해 검정종료일정을 현행 90kg 도달일령에서 시
이유체중은 이유 후 증체 성적(일당증체)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유체중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시체중을 높입니다. 사육 여건을 고려해 포유일수를 늘리는 것도 검토합니다. 모유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방법입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본 시험은 이유자돈 사료 내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의 사용 수준에 따른 성장, 영양소 소화율 및 경제성을 평가하여 이유자돈 사료 내 동애등에의 적정 사용수준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시험을 위해 총 192두의 이유자돈(Landrace×Yorkshire×DurocLandrace×Yorkshire×Duroc; 6.51±0.15kg6.51±0.15kg)을 공시하여 4 처리 6 반복, 반복당 8 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처리구는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하여 기초사료 내 동애등에를 각각 1, 2 및 3% 첨가하였다. 시험 기간은 Phase I(0-14일), Phase II(15-28일)로 나누어 총 28일간(overall)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Phase I, II 및 overall의 사양성적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overall의 일당증체량에서 동애등에 첨가 수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건물 소화율이 동애등에 첨가수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항목에서 유의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제성 분석에서 overall의 총증체량이 동애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