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연천에 위치한 양주축산(대표 이장원)은 경기도 양주에서 400두 규모의 임대 농장으로 출발했습니다. 작은 규모지만 차근차근 성적을 쌓으며 기반을 다져가던 중, 2011년 전국을 휩쓴 구제역 사태로 큰 위기를 맞았습니다. 당시 전국 다수의 양돈농가가 대규모 살처분 조치를 시행했고, 양주축산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축산업 전반에 불안과 침체가 드리운 상황에서, 이장원 대표는 위기 극복을 위해 농장 전면 리모델링을 단행했습니다. 시설 개선과 함께 선진의 사료 및 전문 컨설팅을 기반으로 운영 체계를 재정비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양주축산은 점차 규모를 확대해 현재는 모돈 1,000두를 일괄 사육하는 체계를 구축하게 됐습니다. '피그온 도입으로 정밀한 농장 운영 실현' 양주축산은 과거 각 돈사별로 수기로 일보를 작성하며 사양 관리를 해왔습니다. 당시에는 이 같은 방식만으로도 운영에 큰 불편은 없었기 때문에, 전산 시스템 도입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이었습니다. 굳이 디지털화가 필요한지 확신이 서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러나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농장 성과를 분석하고자, 선진의 양돈 전산 프로그램 ‘피그온(PigOn)’을 도입하면서 인식이 바뀌었습니다.
지난해 9월 17일 국내 첫 ASF 확진 이후, 정부는 멧돼지를 통해 퍼지는 ASF를 막지 못하고 곧 전국으로 장기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멧돼지를 관리하지 못하는 환경부의 무능력과 양돈농가만을 옥죄고 있는 농식품부의 비겁함으로 수십 년 양돈업을 해오던 농가들과 직원들은 졸지에 실업자 신세가 될 처지입니다. 대(大)를 위해 소(小)를 희생하라는 명분에 재산권을 박탈당하고 삶의 터전에서 위태로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사람들.....그들은 ASF 희생농가들입니다. 재입식 등의 요구가 풀릴 때까지 그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어렵게 연락이 닿아 두 번째 ASF 희생농가 양주축산 이장원 대표를 방문하러 연천 군남면으로 향했습니다. 지난 겨울 '돼지와사람'에서 주최한 세미나에서 이장원 대표는 아들과 함께 참석한 적이 있어 반가운 마음이 앞섰습니다. 농장에 도착하니 먼저 입구에 설치된 대형 차량 소독기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도착했다고 연락하니 '입구 우측에 소독방역 건물을 통과하고, 방문 일지를 쓰고 올라오라'라는 설명이 돌아왔습니다. 농장 사무실은 입구에 가장 가까운 건물 2층에 외부와 내부가 나누어져 있는 구조였습니다. 울타리 너머로 2층 사무실로 올라 오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