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 불면 면역강화 ‘액티뮨’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찬바람 부는 계절이 돌아왔다. 이 시기에는 돼지가 쉽게 소모성 질병에 감염돼서 농장에 큰 고통을 안겨준다. 소모성 질병은 돼지의 면역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자극하고,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돼지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질병들이다. 이러한 질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여름보다는 겨울에 주로 발생하고, 봄과 가을 같은 환절기에도 빈번하게 나타난다. 환절기에는 큰 일교차로 돼지가 체온 유지를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고, 이로 인해 면역 시스템의 활성이 저하돼 면역력이 쉽게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환절기 돼지의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별도의 솔루션이 필요하다. 자연 면역 강화 솔루션!! 생체는 다양한 항원으로부터 '자연 면역(innate immunity')과 '적응 면역(adaptive immune response)'을 통해 몸을 지킨다. 자연 면역은 초기 대응을 담당하는 1차 면역 시스템으로, 침입한 병원체에 대해 탐식 능력을 가진 세포군(호중구, 대식세포 등)과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는 세포군(NK세포, NKT세포)이 포함된다. 이러한 자연 면역 반응이
면역의 기원 면역이란 역병을 면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기원전 5세기에 일어난 그리스와 카르타고의 전쟁에 관한 기술에 '페스트 질병에 대해 두 번은 없다'는 말이 기재되어 있다. 이는 오늘날 질병에 대한 면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14세기 유럽을 습격한 페스트는 크고 작은 유행을 반복하면서 유럽 인구 절반의 목숨을 빼앗았다. 당시 페스트는 '흑사병'이라 불리며 악마의 소행으로 여겨 크리스트교 기사단과 수도사들이 헌신적으로 환자들을 간호했다. 그러나 그들도 페스트를 피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그들 가운데 전염되고도 기적처럼 살아난 수도사나 크리스트교 기사들이 있었고 그들은 이후 페스트 환자와 접촉을 해도 다시 병으로 쓰러지지 않았다. 신앙심이 깊었던 그들은 이러한 일들이 '신의 가호' 덕분이라고 믿었고 로마의 법왕은 신의 가호를 받은 자에게 과역과 과세를 면제하였다. 오늘날 쓰이는 'immunity(면역)'라는 단어는 '법왕의 과세(munitas)를 면제받다(im-)'라는 의미의 'im-munitas(면제)'를 통해 탄생하게 되었다. 면역 시스템의 이해 면역을 이해하는 키워드는 '자기'와 '비자기'이다. 자기와 비자기를 식별하여, 비자기를 공격하는 것이 면역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