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축산 냄새 이렇게 잡아라] III. 냄새 저감 기술 소개 - 사양관리

본 컨텐츠는 농촌진흥청이 발간한 냄새 저감 기술 책자, '축산 냄새 이렇게 잡아라'의 일부이며 농촌진흥청의 동의 하에 게재합니다.


[본 책자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 발간도서)에서 전자책(바로보기)으로 볼 수 있으며, 내용 관련 문의는 축산환경과(063-238-7411)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돼지와사람]


 III. 냄새 저감 기술 소개 - 사양관리


○ 생균제 사료 첨가 급여

가축의 장내 균총을 회복하여 섭취한 사료의 분해와 소화를 촉진하고, 소화 과정에서 냄새를 유발하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냄새발생 저감

- 전국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다양한 미생물을 공급하고 있음 → 사료에 0.2% 첨가 시 바실러스균과 유산균의 냄새 저감 효과가 높음


그림 3. 사료에 미생물 첨가 급여 시 슬러리 내 냄새 물질 농도 증감률 비교(출처: 2013, 국립축산과학원): 무처리구의 농도를 기준으로 증감률을 표시
▲ 그림 3. 사료에 미생물 첨가 급여 시 슬러리 내 냄새 물질 농도 증감률 비교(출처: 2013, 국립축산과학원): 무처리구의 농도를 기준으로 증감률을 표시


☞ 생균제란?
살아있는 유익 미생물을 함유한 제제(발효물 포함)로서 동물의 장내 미생물 균형을 개선시켜 유해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사료의 소화와 흡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함

▷ 유산균 : 장내 부패균의 생육 억제 및 사료소화 효소 생산 촉진으로 사료효율성을 증진시켜 악취물질 발생 경감
 고초균 : 단백질 및 전분 분해효소 생산으로 사료 이용성 증진 및 축사악취 경감효과
 곰팡이 : 여러 종류의 효소생산으로 사료 이용성을 증진
 효모 : 사료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영양성분으로 작용

○ 성장단계별 단백질 수준을 고려한 사양
돼지의 영양소 요구량을 고려한 단계별 사료 급여 시 분뇨로 배출되는 미 소화 영양소를 줄여 냄새원인 물질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음 
육성·비육돈에 대한 단계별 사양방법 비교(출처: 1997, Kornegay와 Harper)
▲ 육성·비육돈에 대한 단계별 사양방법 비교(출처: 1997, Kornegay와 Harper)

저단백질 사료 급여
비육돈에 단백질 함량이 요구량 보다 높은 수준의 사료를 급여하여도 성장률 개선 효과가 크지 않으며 냄새물질의 발생은 증가함
그림 4. 육성돈 사료의 단백질 수준별 슬러리 내 냄새 물질 농도 비교(출처: 2013. 국립축산과학원): (    ) 권장 사료 급여 시 냄새물질 농도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
▲ 그림 4. 육성돈 사료의 단백질 수준별 슬러리 내 냄새 물질 농도 비교(출처: 2013. 국립축산과학원): ( ) 권장 사료 급여 시 냄새물질 농도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
- 육성돈 사료의 단백질 수준을 20%(관행) → 17.5%(권장)으로 변경 급여 시 냄새 저감 효과
* 페놀류 농도 27.47 mg/L → 23.67 mg/L, 인돌류 농도 4.13 mg/L → 2.66 mg/L, 이성질체지방산 농도 280 mg/L → 129 mg/L으로 각각 감소

○ 배합사료 내 탄수화물 추가 급여
돼지 장내 발효과정 중 미생물의 에너지원인 탄수화물 추가 공급 시 미생물에 의한 질소이용률은 증가하고 냄새물질 발생은 억제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를 건초 분말로 사료 내 1% 첨가 시 효과
그림 5. IRG 첨가에 따른 돼지의 생산성 비교(출처: 2012, 국립축산과학원): (   ) IRG 무첨가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
▲ 그림 5. IRG 첨가에 따른 돼지의 생산성 비교(출처: 2012, 국립축산과학원): ( ) IRG 무첨가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

그림 6. IRG 첨가에 따른 슬러리 내 냄새물질 비교(출처: 2012, 국립축산과학원): (    ) IRG 무첨가 시 냄새물질 농도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
▲ 그림 6. IRG 첨가에 따른 슬러리 내 냄새물질 비교(출처: 2012, 국립축산과학원): ( ) IRG 무첨가 시 냄새물질 농도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

*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등 생산성의 차이는 없었지만, 슬러리 내 페놀류 농도 189.0 mg/L → 160.4 mg/L , 인돌류 농도 14.56 mg/L → 11.34 mg/L 각각 감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이용 TMR 사료 급여 시 효과


TMR 사료 제조를 위한 원료 혼합 비율
▲ TMR 사료 제조를 위한 원료 혼합 비율


(1단계) 배합사료와 IRG 건초 분말 1차 혼합 → (2단계) 물과 생균제를 넣고 10~20일간 혐기발효 후 당일 급여 시 효과

그림 7. 관행사료와 TMR사료 급여 후 슬러리 내 냄새물질 농도 비교(출처: 2013, 국립축산과학원): (     ) 관행사료 급여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
▲ 그림 7. 관행사료와 TMR사료 급여 후 슬러리 내 냄새물질 농도 비교(출처: 2013, 국립축산과학원): ( ) 관행사료 급여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

* 페놀류 농도 67.53 mg/L → 64.01 mg/L, 인돌류 농도 8.01 mg/L → 6.24 mg/L 각각 감소


발효탄수화물 종류별 사료 내 5% 첨가 급여 시 효과
* 평균감소율 : 페놀류 66%, 인돌류 43%, 암모니아태 질소 40% 감소

발효탄수화물 종류별 슬러리 내 냄새물질 농도 비교(단위:mg/L): (    ) 대조구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출처: 2013, 국립축산과학원)
▲ 발효탄수화물 종류별 슬러리 내 냄새물질 농도 비교(단위:mg/L): ( ) 대조구를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 비율 값(출처: 2013, 국립축산과학원)
 
○ 적정 사육밀도 유지
- 농식품부 고시 사육밀도 0.79 ㎡/두 보다 넓은 1.0 ㎡/두 이상으로 사육공간 제공 시 냄새 저감 효과

비육돈사의 사육밀도 조절에 의한 돈사 내 냄새물질 농도변화(단위: ppb, 출처: 2015, 국립축산과학원): (     ) 사육밀도m2/두를 100으로 보았을 때 비율 값
▲ 비육돈사의 사육밀도 조절에 의한 돈사 내 냄새물질 농도변화(단위: ppb, 출처: 2015, 국립축산과학원): ( ) 사육밀도m2/두를 100으로 보았을 때 비율 값

* 트리메틸아민 29.3 ppb → 19.5 ppb, 황화합물류 1,031.2 ppb → 611.2 ppb, 인돌류는 1.4 ppb → 1.1 ppb 농도 감소


다음 편에 계속됩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총 방문자 수
12,534,628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