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가축방역은 철저한 차단방역 실천으로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며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지자체 간 긴밀하게 협력하고 가축방역에 대한 긴장감 유지와 철저한 방역태세를 갖출 것”을 당부했습니다. - 2024년 10월 강원지역 ASF 발생 관련 보도자료 중 축산에서 흔히 사용하는 '차단방역'은 영어인 'Biosecurity(바이오시큐리티)'로부터 나온 말입니다. 이는 생물을 뜻하는 'Bio-'와 보안을 뜻하는 '-Security'가 합쳐진 말입니다. 직역하면 '생물보안'이 됩니다. 'Biosecurity'라는 말은 인체보건에서도 활용됩니다. 바이러스나 세균 등을 다루는 실험실에서도 사용됩니다. 그런데 모두 한글로 '생물보안(일부 바이오보안)'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차단방역'이 아닙니다. 질병관리청 홈페이지(바로보기)에는 '생물보안'에 대한 정의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생물보안이란 감염병의 전파, 격리가 필요한 유해 동물, 외래종이나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유입 등에 의한 위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일련의 선제적 조치 및 대책을 말한다. 여기에는 생명과학 실험실에서 생물학적 물질의 도난이나 의도적인 유출을 막고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박용목)이 ASF의 효과적인 방역과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만한 ‘멧돼지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생태와 차단방역’라는 제목의 지침서를 발간했습니다. ※멧돼지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생태와 차단방역 전자파일 보기 이번 지침서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동물보건기구(OIE), 유럽위원회가 지난해 발간한 '동물 생산과 건강 22번째 안내서(원문 보기)'를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에서 번역한 것입니다. 지침서에는 멧돼지에서 발생하는 ASF의 역학적 특성과 멧돼지 생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유럽에서 ASF를 어떻게 대응하고 관리했는지에 대한 최근의 사례(체코, 벨기에 등)가 담겨 있습니다. 또한, 해당 바이러스의 주요 전파위험 인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수렵 과정 중의 차단방역, 의사소통, 자료수집을 위한 필수 정보를 상세히 다루었습니다. 지침서는 이달 말부터 관련 기관 및 지자체, 주요 도서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국립생태원 홈페이지(바로가기)에도 전자파일(PDF) 형태로 공개될 예정입니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지침서는 국내 수의사와 생태학자 등 전문가들이 직접 번역하여 ASF 발생과 관련한 멧돼지 생태와 개체군 관리에
현재 다산성 모돈을 갖고 있거나 앞으로 계획이 있는 분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 다산성 모돈 관련 최신 외국 전문 서적이 한글로 번역되어 출간되는데 선착순 무료로 배포됩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사장 서승원, 이하 베링거인겔하임)는 글로벌 수의·양돈 전문 출판사인 ‘세르벳’ (SERVET)의 ‘Management of the Hyperprolific Sow(2017, 이하 다산성 모돈의 관리)' 책자를 쉬운 우리말로 번역·출간했다고 밝혔습니다. '다산성 모돈의 관리' 책자는 지난 2017년 스페인의 양돈 전문가인 '루이스 산조아킨 로메로 교수(Prof. Luis Sanjoaquín Romero)가 저술하였는데, 최근 전세계적으로 일반화되고 있는 고능력의 다산성 모돈 관련 농장의 사양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관련 사이트). 이를 통해 농장으로 하여금 번식성적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수익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국내 번역에는 다년간의 현장 경험이 많은 수의전문가들이 참여했습니다. 고상억(발라드동물병원), 윤영희(돼지와건강), 양승혁(발라드동물병원), 김동욱(한별팜텍) , 정여택(PMC동물병원), 오유식(베링거인겔하임) 수의사 등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