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번식·자돈 관리의 해답, 청년 양돈인이 말하는 세바 솔루션 포천에서 모돈 360두 규모의 일괄농장을 운영 중인 곽민지 대리(24세)는 아버지의 가업을 잇기 위해 본격적인 현장 경험을 쌓고 있다. 전문적인 양돈 경영인이 되기 위하여 농수산대학교 양돈학과를 졸업하고, 재학 중에 유럽 연수경험을 통해 양돈 선진국의 사양관리를 배워왔고, 2024년 농장 시설을 현대화하면서 보다 체계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한 현장 경험을 쌓아 나가고 있다. 보기 드문 청년 양돈인으로서의 패기와 실천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곽 대리에게, 효율적이고 동물복지에 부합하는 농장 운영 방식과 그 중심에 있는 세바의 "알트레신"과 "포세리스"에 대해 들어보았다. Q.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저는 포천에서 모돈 360두 규모의 일괄농장을 아버지와 함께 운영하고 있는 곽민지입니다. 농수산대학교에서 양돈학을 전공했고, 현재는 농장 운영 3년차입니다. 현장에서 부딪히며 배우는 게 많고, 돼지에 대한 경험도 꾸준히 쌓아가고 있습니다. Q. 2024년에 농장을 현대화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A. 네, 2024년에 전체적인 농장 구조와 설비를 현대화했습니다.
이 글은 지난 4월 17일에 있었던 ‘알트레신과 함께하는 다산성 모돈관리의 모든 것’ 웨비나(다시보기) 후에 진행된 설문과 그 결과를 추려서 작성한 글입니다. ▶ 1편: 알트레신 투약 전 초발정 확인 및 기록관리를 하는가? Q. 하루 중 언제 세바의 발정동기화 호르몬제 ‘알트레신’을 투약하고 계신가요? 알트레신과 같은 발정동기화 제제를 하루 중 언제 투약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약 80%가 매일 오전 동일한 시각에 투약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약 9%에서는 정확한 시각을 정하지 않고 오전/오후 중 여유 있을 때 투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같은 시각에 발정동기화 제제를 투약하지 않으면, 매 투여간 간격이 24시간으로 동일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24시간보다 길거나 짧아지면서 투여된 호르몬이 체내에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고 균형이 깨지면서, 이것으로 인해 투약 기간 중에 발정이 일어나 결국 발정동기화에 실패할 수 있다. 초발정 체크를 포함한 후보돈 관리가 정상임에도 발정동기화 제제 투약종료 후 7일이 지나도 발정이 오지 않는 개체들이 자주 발생한다면 이런 경우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매일 동일한 시각에 투여할 것을 권장한다. 또
이 글은 지난 4월 17일에 있었던 ‘알트레신과 함께하는 다산성 모돈관리의 모든 것’ 웨비나(다시보기) 후에 진행된 설문과 그 결과를 추려서 작성한 글입니다. Q. 세바의 발정동기화 호르몬제 ‘알트레신’이 투여되기 시작하는 후보돈들은 초발정 확인 및 기록관리가 되어 있는 상태인가요? 알트레신과 같은 발정동기화 제제가 투여되기 시작하는 후보돈들에 대해 초발정 확인 및 기록관리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설문에 참여한 분들의 약 10%가 초발정 확인 및 기록을 하고 있지 않으며, 9%는 초발정 확인은 하지만 기록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한 대체로 초발정 확인 및 기록을 하지만 때때로는 못한다는 응답도 19%로 나타났다. 초발정 확인과 기록관리는 후보돈 관리와 발정동기화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발정동기화 제제는 초발정이 확인된 개체에만 사용해야 발정동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래야만 문제가 발생했을때 어느 부분(ex. 개체, 사양 관리, 투약 과정 등)이 잘못되었는지 확인하고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후보돈들의 발정 관련 사항들을 후보돈 개체 카드에 잘 기록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래야만 언제 다음 발정이 올 것으로 예상할
'유한양행'과 'Cargill MHS 한국사업부'가 지난 24일 경기도 광명에 있는 테이크호텔 별관에서 주요 사료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기술 세미나를 진행하였습니다. 세미나의 주제는 ‘모돈과 자돈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잠재력 극대화와 프레스타F’였습니다. 프레스타F는 자돈과 모돈의 섭취량 증진, 소화율 개선, 산화 스트레스 저감에 도움이 되는 Cargill MHS(Micronutrition and Health Solution) 사업부의 대표 식물추출물 솔루션입니다. 유한양행이 국내 공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날 세미나는 김인호 교수(단국대학교)의 ‘저산화아연 자돈사료 내 프레스타F와 장관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이라는 제목의 강연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김 교수는 저산화아연이 적용된 자돈 배합사료에서 프레스타F가 일당 증체량, 연변 등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장내 균총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습니다. 해당 결과는 향후 국제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어 Maud 박사(글로벌 양돈기술 리더, Cargill MHS 사업부)는 '지속가능한 모돈 생산성을 위한 유(乳) 생산 솔루션' 발표에서 모돈의 임신 후기 관리에서 등지방뿐만 아니라
통계청이 지난 25일 '2025년 1분기(3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돼지 사육두수가 역대 최저 기록을 또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준 전국 사육돼지 숫자는 모두 1,079만6천 마리입니다. 통계청이 돼지이력제를 기반으로 조사를 시작한 2017년 이래 역대 최저 기록인 지난해 4분기 사육두수(1084만6천, 관련 기사)보다 또 다시 4만9천 마리(-0.5%) 감소했습니다(전년 동기 대비 -1.8%). 다만, 모돈 사육두수는 98만9천 마리로 전 분기 대비 1만4천 마리(1.5%) 증가했습니다(전년 동기 대비 -0.7%).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이어진 돈가 하락세가 4분기부터 반등, 최근까지 상승세로 전환한 것이 이유로 추정됩니다. 지난해 한풀 꺾인 농가의 사육의지가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입니다. 8개월령 이상 돼지의 경우 전 분기 대비 소폭 증가(1.5%)하였고, 2개월령 미만 돼지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증가(0.4%)한 것을 볼 때 2분기부터 전체 사육두수뿐만 아니라 모돈두수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 1분기 기준 돼지 농장수는 5602호로 집계되었습니다. 역대 최저 농장수 기록을 보
안타깝게도 이틀 연속 돈사 화재 사고 소식입니다(관련 기사). 전북소방본부는 9일 오후 6시 28분경 진안군 성수면에 있는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1시간여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철골조 칼라강판지붕 돈사 1개 동(325㎡)이 전소되고, 모돈 등 돼지 500여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피해 규모와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이번 화재로 4월 돈사 화재는 모두 3건으로 늘어났습니다. ▶2일 경남 합천 ▶8일 경남 양산 ▶9일 전북 진안. 한편 지난해 4월 돈사 화재 발생건수는 모두 9건이었습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신생자돈은 건강상태, 면역반응, 감염 및 백신접종에 대한 민감성 면에서 상당한 다양성을 보인다. 최신 자료에 따르면 모돈의 '분만 횟수(산차)'가 자돈의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2산 및 3산인 모돈이 1산 또는 그 이상 산차인 모돈에 비해 자돈의 건강이 더 안정적이다. 장내 미생물군은 숙주의 건강에 근본적인 역할을 하며, 숙주와 함께 진화하고 수직 전파를 통해 새끼의 발달에 기여한다. 모체 미생물군이 신생아의 결과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모돈의 장내 미생물군에서 모돈의 산차와 관련된 차이를 조사하고 모돈과 자돈의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분변 샘플은 산차가 다른 모돈 25마리(1, 2, 3, 4, 8산)에서 채취하여 PacBio Sequel II 플랫폼을 사용하여 전체 길이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산차가 적은 모돈(1~2산)과 산차가 많은 모돈(3~8산)의 미생물군 구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테네리쿠테스(Tenericutes)의 상대적 풍부도는 산차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했다(P<0.01). 산차가 낮은 모돈은 로도스피릴라세(Rh
오늘 새벽 경기도 화성에서 돈사 화재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28일 오전 5시 37분경 화성시 장안면에 있는 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약 3시간 3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불로 돈사 3개 동이 전소되고 모돈 550여 마리와 자돈 2천1백여 마리 등 돼지 총 2천6백5십여 마리가 폐사했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돈사에서 불이 시작되었다는 신고자의 말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입니다. 이번 화성 화재로 이달 돈사 화재 발생건수는 모두 17건으로 늘어났습니다. ▶3일 경북 성주·인천 강화 ▶5일 경기 용인 ▶6일 경기 여주 ▶7일 충북 영동·경북 고령 ▶9일 경기 파주 ▶10일 충남 홍성(2건) ▶14일 충남 논산 ▶15일 충남 서천 ▶16일 경남 남해 ▶24일 경기 연천 ▶26일 충남 홍성 ▶27일 경남 창원·충북 음성 ▶28일 경기 화성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스톨 등 좁은 공간에 갇힌 임신한 암퇘지는 종종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목적이 없는 행동인 '정형행동(stereotypic behavior)'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격리된 모돈의 행동, 생리학 및 면역의 변화를 조사하고, 정형행동이 스트레스 증가의 징후이며 모돈이 불리한 환경에 대처하거나 적응하는 데 기여하는지 예측하는 것이다. 건강한 3산차 임신모돈 50마리(Large White × Landrace)를 임신스톨(210cm × 57.5cm × 97.5cm)에 개별적으로 수용하고 사료와 물통을 제공했다. 임신 초기, 중기, 후기의 행동을 관찰하고 여러 생리적·면역학적 매개변수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옆으로 누워 있는 행동은 크게 증가한 반면, 서 있는 행동과 엎드려 누워 있는 행동은 크게 감소했다(p < 0.05). 가짜 씹기(Sham-chewing), 막대기 물기(bar-biting), (사료)통 물기(trough-biting), 파헤치는(rooting behavior) 행동은 크게 감소했다(p < 0.05). 또한, 임신 기간에 생리적, 면역적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가짜 씹기 행
오는 2029년 12월 31일까지 우리나라 모든 돼지농장은 임신돈 군사공간을 마련해야 합니다. 그리고 2030년 1월 1일부터 교배 후 6주가 경과한 임신돈에 대해서는 스톨사육 대신 임신돈이 자연스러운 자세로 일어나거나 눕거나 움직이는 등 일상적인 동작을 하는 데 지장이 없는 군사사육을 실시해야 합니다('19년 12월 31일 축산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 개정, 기존 허가 농장 10년간 유예, 관련 기사). 앞으로 5년 후의 일이지만, 관련 법령 개정 이후 이미 5년이라는 시간이 지났고 산업에서의 전반적인 준비 정도가 아직 걷기는 커녕 일어서지도 못한 수준인 점을 생각하면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입니다. 벌써부터 전면 재검토, 추가 유예 등의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양돈성적뿐만 아니라 동물복지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덴마크가 임신돈 군사사육 및 스톨사용 금지를 2035년까지 유예했다는 얘기가 알려지면서 해당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덴마크도 못하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어떻게 하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덴마크, 임신돈 군사사육 및 스톨 금지 2035년까지 유예'...이는 정말 사실일까요? 단도직입적으로 틀린 얘기입니다(관련 정보).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