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곰팡이 독소가 소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산균 배양액을 활용해 독성 저감 효과를 확인하는 데도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사료를 제대로 보관하지 않으면 곰팡이가 번식하면서 독소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 독소는 가축의 장 기능을 손상시키고, 사료 섭취량 감소·성장 저하·생식 기능 저하 등을 유발해 생산성을 떨어뜨리며 축산 농가에 큰 경제적 피해를 줍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소의 소장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를 활용했습니다. 곰팡이 독소에 노출된 소 소장 오가노이드는 장벽 기능이 무너지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정상 상태에서는 4kDa 덱스트란이 통과하지 못했으나, 곰팡이 독소 처리 시 장벽이 무너져 내부로 통과되었습니다. 하지만, '유산균 배양액(저감제, Lactobacillus)'을 처리하자 덱스트란의 일부만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산균 배양액이 장벽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Apical-out intestinal organoids as an alternative model for evaluating deoxynivalenol toxicity and Lactobacil
한국히프라가 16일 온라인 세미나(관련 기사)를 통해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A형'과 함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Clostridioides difficile, 이하 디피실)'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백신(제품명 '수이셍DA')을 내년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혀 주목되었습니다. 디피실은 독소(A, B) 생성을 통해 생후 1~7일령 신생자돈에 설사를 유발하는 병원균입니다. 인수공통전염병이기도 합니다. 앞서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총 910개의 분변 샘플 중 19.3%에 디피실이 분리되었고 설사증상을 보인 포유자돈의 경우에는 절반 이상(53.6%)에서 균이 검출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습니다(2012년 연구과제). 이런 가운데 국내에는 현재 예방백신이 없는 상황입니다. 한편 한국히프라는 이날 세미나에서 수이셍, 리니셍, 에리셍파보 등 자사 백신의 특장점과 농장에서의 최근 적용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곰팡이독소는 특정 종류의 곰팡이가 생산하는 독성 화합물이다. 이 독소들은 주로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번성하며, 작물과 사료를 오염시킬 수 있다. 최근의 기후 변화인 지구 온난화 등은 곰팡이독소 발생 증가를 야기했다. 이러한 독소들은 작물과 가축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며, 가축의 건강과 생산성을 저해한다. 곰팡이독소에 노출되면 가축의 소화, 신경계, 호흡 및 생식기 기능을 해치는 동시에 면역 체계를 약화시켜 감염성 질병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 지난 수십 년간 곰팡이독소를 통제하기 위한 강력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중 하나는 독소 결합제의 사용인데, 이는 효과적으로 곰팡이독소를 제거하지만, 필수 영양소를 결합하여 영양 결핍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혁신적인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곰팡이독소에 대한 소개와 가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여러 해독 전략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이는 가축의 건강과 생산성을 보호하기 위한 관리 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곰팡이독소가 가축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 탐색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가축 사료 내 곰팡이독소의 발생과 완화 전략,
에코포크 시가(Ecoporc Shiga™), 1회 주사로 부종병 철벽 방어! ▶ 폐사율 감소 ▶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 증가 ▶ 자돈 균일도 증가 ▶ 농장관리자의 스트레스 완화
오리지널 톡소이드 부종병 백신, '에코포크 시가(정보 보기)'는 4일령 또는 그 이상의 건강한 자돈의 귀 뒤쪽 경부 근육에 1ml 1회 근육주사로 투여합니다.
에코포크 시가(Ecoporc Shiga™), 1회 주사로 부종병 철벽 방어! ▶ 폐사율 감소 ▶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 증가 ▶ 자돈 균일도 증가 ▶ 농장관리자의 스트레스 완화
곰팡이독소는 인간과 동물에 대한 급성 및 만성 독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점점 더 많이 언급되고 있다. 돼지는 곰팡이독소에 노출되었을 때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돼지가 사료에 함유된 저농도의 곰팡이독소인 '데옥시니발레놀(DON, 보미톡신)'과 '제랄레논(ZEN)'에 노출되었을 때 장내 미생물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PRRSV와 PCV2에 음성인 체중 15kg의 돼지 15마리를 구입하여 체중 20kg까지 순응시킨 후 무작위로 DON 그룹(DON 처리), ZEN 그룹(ZEN 처리), CTL 그룹(무처리 음성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에 각각 0.8mg/kg(800ppb), 0.20mg/kg(200ppb)의 DON과 ZEN을 사료에 30일간 투여했다. 장 및 분변 샘플에서 미생물 DNA를 추출한 후, 이온 316 V2 칩과 이온 PGM 시퀀싱 400 키트를 사용하여 이온 PGM에서 시퀀싱 절차를 수행했다. 그 결과 십이지장, 공장, 회장의 박테리아 군집에서 DON 및 ZEN 그룹은 CTL 그룹에 비해 저농도의 OTU(Operational Taxonomic Units; DNA 시퀸싱 결과에서 유사한 시퀀스를 종들끼리
'돼지 귀 끝 괴사(Porcine ear necrosis)'는 주로 이유자돈에서 나타나며 증상 정도는 개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대부분 발생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가운데 여하튼 외상(물림 상처) 또는 혈액 순환 장애 등으로 일어납니다. 혈액 순환 장애의 경우 귀에 분포된 혈관에 문제가 발생해 괴사가 나타나는데 세균·바이러스뿐만 아니라 곰팡이독소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귀 끝 괴사는 돼지 건강과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평상시 사전 모니터링과 관리가 요구됩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은 줄이고, 농장 성적은 개선!
'흉막폐렴'은 돼지의 대표적인 호흡기 질병입니다. 흉막폐렴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이 원인체입니다. 돼지 몸에 들어온 흉막폐렴균은 폐에서 자랍니다. 이 과정에서 독소 등을 분비하여 폐 곳곳을 손상시킵니다. 흉막폐렴에 걸린 돼지는 급사와 함께 비강과 입 주변에 혈액이 묻어 있는 것이 관찰됩니다. 기침과 호흡곤란을 보이기도 합니다. 흉막폐렴은 톡소이드 백신 접종과 함께 환경 발생 요인 관리를 통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