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폐사체 처리기를 이용하는 농가가 많이 늘고 있는데 화재 발생에 주의해야 할 듯합니다. 전북소방본부는 6일 오후 12시 16분경 군산시 서수면에 위치한 양돈단지 내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폐사축 처리기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5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폐사축 처리기 2대와 철골조 칼라강판지붕 일부(50㎡)가 소실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재산피해 규모와 함께 화재 원인을 파악 중입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지난달은 역대 2월 중 가장 많은 돈사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의 재산피해를 입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방청 등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3.5일) 파악된 2월 돈사 화재 발생건수는 모두 22건입니다. 이는 전달(17건)보다 5건, 지난해 2월(16건)보다 6건 증가한 수준입니다. 또한, 지난 '22년 2월(22건)과 함께 역대 2월 한 달간 발생한 가장 많은 발생기록입니다. 전국적으로 하루에 0.76건 꼴로 화재 사고가 난 셈입니다. 2월 22건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경기에서 5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이어 제주와 전북이 각 4건, 충남 3건, 충북과 전남이 각 2건, 강원과 경북이 각 1건씩 발생했습니다. 1월 2건이 발생한 경남은 2월에는 발생건수 0건입니다. 2월 화재로 인한 전체 재산피해액은 역대 2월 중 가장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모두 48억원으로 지난해 2월(16건 12.5억)과 '22년 2월(22건 31.8억) 피해액과는 현격한 차이입니다. 지난 1월(17건 48.7억)과 마찬가지로 피해가 컸던 대형 화재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지난 18일 발생한 전북 군산 화재(관련 기사, 돈사 3동 전소 및 돼지 4500여마리 폐사)가 13
[2보] 소방청에 따르면 이번 군산 화재 재산피해액은 총 13억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1보] 오늘 아침 전북 군산에서 대형 돈사 화재가 일어났습니다. 전북소방본부는 18일 오전 6시 53분경 군산시 회현면에 있는 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2시간 30여분 만에 진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불로 잠정 돈사 3개 동(2,700㎡)이 전소되고 돼지 4천5백여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피해 규모와 화재 원인을 파악 중입니다. 군산에서는 앞서 전날에도 축사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축사 1동 일부와 사료 저장고 2개가 불에 타는 등 2575만원의 재산피해를 입었습니다. 확인 결과 소 사육농장으로 파악되었습니다. ※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와 전기화재 예방 안내서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오늘 (17일) 새벽 전북 군산의 인큐베이터 자돈사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전북소방본부는 17일 새벽 4시 19분경 군산시 서수면 소재 한 양돈장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돼지 110여 마리가 폐사했다고 밝혔습니다. 불은 컨테이너로 만든 인큐베이터실 자돈사에서 발생했습니다. 출동한 소방대에 의해 50여분 만에 진화되었습니다. 다행히 다른 돈사로 번지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불로 자돈사 전체가 타고 돈사 내 자돈이 폐사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소방당국은 피해 규모를 잠정 1800만 원으로 추정했습니다. 현재 정확한 화재 원인을 파악 중입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올들어 32번째 돈사 화재 사고입니다. ※양돈장 화재 예방을 위한 필수 점검 대상 4가지(바로보기)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17일 농림축산검역본부 호남지역본부(지역본부장 김도순, 이하 “검역본부”)는 전라북도 군산 신청사에서 개청식을 가졌습니다. 호남지역본부 신청사는 2015년 12월 착공하여 2016년 12월 완공 후 올해 2월말 4개과가 이전을 완료하였습니다. 김도순 호남지역본부장은 “신청사 이전을 통해 동물질병과 식물병해충이 없는 「청정 대한민국 실현」및「국민에게 사랑받는 세계적인 검역본부」 비전 달성을 위해 전 직원이 합심·단결하여 매진할 것이다”라고 하면서 "특히, AI 등 국가재난형 질병에 대해 더욱 강화된 집중 방역관리와 예방적 맞춤형 방역지도를 실시하고, 외래 식물 병해충 예찰 강화로 우리나라 농축산업의 중심지인 호남지역이 청정지역이 되도록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강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