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이 5378원으로 두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3개월 연속으로 역대 월중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는 출하두수가 4년 만에 170만 두 아래(168만)로 떨어졌고, 돼지고기 수입량이 최근 하향세를 보인 가운데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2만2천 톤)으로 감소한 것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돈가 강세는 12월에도 이어질지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101.7)보다 1.0포인트가 하락한 100.7을 나타냈습니다. 6개월 연속 지수 기준치 100 이상을 상회했습니다. 6개 구성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 가계수입전망은 소폭 증가한 반면, 생활형편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소비지출전망은 변동이 없었습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달 소비자심리지수는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와 수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전월보다 하락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돼지고기 소매가격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11월 평균(100g 기준) 국내산 냉장삼겹살과 수입산 냉동삼겹살의 소매가격은 각각 2568원과 1498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12월 돼지관측 보고서(바로보기)를 통해 다가올 2025년도 돼지 사육두수와 도축두수, 수입량,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 전망치를 내놓았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먼저 내년 평균 돼지 사육두수를 올해(1197만6천 마리, 추정)와 비슷한 수준인 1183만~1207만 마리가 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모돈의 경우 올해(96만4천 마리, 추정) 수준인 95만~99만 마리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에 따른 돼지 도축두수는 1870만~1918만 마리가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올해 도축두수는 1892만 1천 마리가 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내년 돼지고기 수입량의 경우 40~44만 톤으로 올해(45만 9천 톤) 추정치보다 7.4% 내외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수입 돼지고기 재고량 증가 영향입니다. 이를 종합한 내년도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올해 평균 도매가격(5252원, 추정) 수준인 5100~5300원으로 예측했습니다. 이상의 전망치에 대해 농업관측센터는 다음달 16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농업전망 2025(홈페이지)' 행사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전망 배경과 근거를 설명할 계획입니다. 이달 16일부터 행사 참
[전광판을 통해 한돈산업 관련 월별 일별 주요 정보와 단신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돼지와사람] ◆이달의 주요 행사 및 일정 1-3일 제2회 홍성 글로벌바비큐페스티벌 6일 가축방역 선진화를 위한 국회 세미나(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12-15일 유로티어(Eurotier) 2024 전시회(독일 하노버) 14일 안티축산 대응 축산바로알리기 전략 모색 세미나(오후 1시, 농협서울지역본부 대강당) 18일 도축장 전기요금 특례 연장 국회 정책토론회(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 20-23일 푸드위크 2024(코엑스 전시홀) 27일 농장동물 복지 향상 방안 모색을 위한 국회 토론회(오후 2시 30분, 국회 의원회관) 29일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 추계심포지엄(오후 1시, 국립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 산업과학대학) ◆'24년 11월 등급판정두수 및 도매가격, 수입육, 소매가격, 한돈재고동향, 소비자심리지수 요약 ◆ 이달의 한돈산업 관련 주요 단신 3일 강원 홍천 양돈농장(2500두 규모) ASF 확진...강원·경기 9개 시군 대상 24시간 스탠드스틸 발령 5일 통계청 10월 물가상승률 1.3% 3년 9개월 만에 최저치 6일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9월(관련 기사)에 이어 10월에도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은 모두의 예상을 빗나갔습니다. 평균 5702원으로 전월(6098원)보다 하락했지만 강세를 유지하며 역대 10월 중 가장 높은 가격을 보였습니다. 이에 농가는 반색했습니다. 반면, 유통업계는 울상을 지었습니다. 11월에도 이같은 가격 상황이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10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100.0)보다 1.7포인트가 상승한 101.7을 나타냈습니다. 5개월 연속 지수 기준치 100 이상을 상회했습니다. 특히, 3개월 만에 반등했습니다. 지수를 구성하는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등의 수치가 모두 증가한 결과입니다. 최근 물가 상승세가 둔화한 가운데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조치로 내수 활성화 기대감이 높아진게 영향을 주었다는 분석입니다. 돼지고기 소매가격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10월 평균(100g 기준) 국내산 냉장삼겹살과 수입산 냉동삼겹살의 소매가격은 각각 2690원과 1483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전달보다 19원(0.7%), 30원(2.0%) 증가한 가격입니다. 다만, 지난해 10월과
올해 돼지고기 수입량이 벌써 40만톤을 넘어섰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이달 2만8천톤(31일 기준, 잠정치) 가량의 수입산 돼지고기가 추가로 국내 유통을 위한 검역검사 절차를 마쳤습니다. 이로써 12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수입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올해 누적으로는 40만5천톤으로 역대 처음으로 10월에 수입량 40만톤대를 기록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전체 수입량(40만3천)을 초과했습니다. 앞서 지난 1월 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 돼지고기 수입량을 지난해보다 2.7% 감소한 39만2천톤 내외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올해 돈가도 이례적이지만, 돼지고기 수입 역시 마찬가지 상황입니다. 예상을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이제 앞으로 남은 두 달 동안 역대 최고 수입량 기록('18년 46만톤)을 경신할지가 주목됩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올해 누적 평균 돼지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 kg당)'이 처음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평균 도매가격을 최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들어서 처음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올해 누적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지난해와 비교해 줄곧 낮았습니다. 단 한 번도 앞선 적이 없습니다. '지난해보다 낮은 돈가'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쓰였습니다. 이는 올해 3월과 6월, 7월, 8월, 9월 월간 평균 도매가격이 지난해보다 높게 형성되었지만, 앞서 1월과 2월, 4월, 5월 유난히 낮게 형성된 가격 영향이 컸기 때문입니다. 다만, 가격폭은 갈수록 좁아졌습니다. 지난해와 올해 9월 기준 누적 평균 도매가격은 각각 5205원과 5125원으로 불과 80원 차이였습니다. 그런데 이달 10월 드디어 지난해와 올해 가격이 역전된 것입니다. 30일 기준 지난해와 올해 누적 평균 도매가격은 5179원과 5183원으로 올해 누적 평균 가격이 4원 더 높습니다. 확인 결과 가격 역전은 앞서 29일부터 일어났습니다(5181원 vs. 5182원). 이 같은 가격 역전 상황은 10월 도매가격이 대체적인 예상을 뒤엎고 9월에 이어 이례적으로 강세를 보였기
통계청이 지난 18일 '2024년 3/4분기(9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전년동기대비 돼지 사육두수(모돈수 포함)뿐만 아니라 돼지 농장수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관련 기사). 특히, 농장수의 경우 1년 전보다 161호나 줄어든 5560호로 처음으로 5500호대까지 떨어진 모습을 보였습니다. 양돈농장 감소는 일부 시도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충남으로 74호나 줄었습니다. 이어 전북 61호, 경남 23호, 경기 10호, 제주 7호, 전남 4호, 인천·울산 각 3호 등의 순으로 1년 사이 농장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반면, 농장이 증가한 곳도 있는데 경북과 강원, 충북 등 3곳입니다. 각각 18호, 7호, 2호 늘어났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3분기 기준 양돈농장이 많은 시도는 ▶경기 1114호 ▶충남 995호 ▶전북 713호 ▶경북 656호 ▶경남 601호 ▶전남 495호 ▶충북 321호 ▶제주 255호 ▶강원 236호 ▶대구 52호 ▶세종 48호 ▶인천 27호 ▶울산 21호 ▶부산 13호 ▶광주 11호 ▶대전 1호 등의 순입니다. 충남의 양돈농장의 큰 감소로 경기
통계청이 지난 18일 '2024년 3/4분기(9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돼지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사육두수뿐만 아니라 모돈숫자, 사육농장수 모두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모두 역대 최저기록입니다. 해당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돼지 사육두수는 1,118만 2천 마리로 2분기 연속 증가하며 1100만 마리대를 나타내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지난해와 비교하면 21만6천 마리가 감소(-1.9%)한 사육두수입니다. 또한, 통계청이 지난 '2017년 돼지이력제 기반으로 통계를 조사한 이래 가장 낮은 3분기 사육마릿수입니다. 3분기 모돈 사육두수는 97만8천 마리입니다. 전분기보다 2만6천 마리(-2.6%), 지난해보다는 1만5천 마리(-1.5%) 각각 줄었습니다. 사육두수와 마찬가지로 역대 가장 낮은 3분기 모돈 사육규모입니다. 높은 생산비와 이에 비해 낮은 돈가, 강력한 환경 규제, 불안한 소비시장, 역대급 돼지고기 수입량 등이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관련 기사). 3분기 돼지 사육두수를 월령별로 살펴보면 1, 2분기와 마찬가지로 '2개월 미만(1.2%)' 돼지를 제외하고 '2~4개월 미만(-3.2%
지난 금요일(11일) 이재명 대통령이 퇴근 후 서울의 한 삼겹살 전문당에서 대통령실 직원과 식사를 하는 장면이 공개되어 화제입니다. 이날 대통령은 식당 관계자뿐만 아니라 식당을 찾은 시민들과도 스스럼없이 대화를 했습니다. 식사 후 SNS에 이 대통령은 "금요일 퇴근길, 직원들과 저녁 식사를 함께했다. (또한) 가게 사장님과 직원분들, 식사하러 오신 손님들과 마주 앉아 실제 체감하는 경기 상황과 물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도 가졌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골목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오는 21일부터 시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소비를 촉진해 침체된 골목상권에 온기를 불어넣고,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주길 기대한다. 내수 회복을 위한 후속 대책도 선제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전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다양한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열정! '이기홍'
한돈발전, 정부와 국회를 설득할 유일한 후보 '한동윤'
내 일처럼 해결하는 실천형 리더 '구경본'
제21대 대한한돈협회 회장 선거(10.14일)를 위한 기호 추첨 행사가 8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추첨 결과 기호 1번은 구경본 후보(전북 진안), 기호 2번은 이기홍 후보(경북 고령), 기호 3번은 한동윤 후보(경북 영천)로 결정되었습니다. 공교롭게 나이순(각각 '66년, '67년, '73년생)입니다. 모두 50대입니다. 이들은 이날부터 오는 10월 13일까지 이름과 함께 기호를 알리는 선거운동을 벌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제21대 대한한돈협회장 선거 후보자 등록기간 마지막 날인 7일까지 모두 세 명의 후보가 등록을 마쳤습니다. 이들은 구경본, 이기홍, 한동윤 후보입니다. 최근까지 구경본 후보는 대한한돈협회 부회장, 이기홍 후보는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의장, 한동윤 후보는 영천시지부 지부장을 맡은 바 있습니다. 내일(8일) 번호 추첨을 시작으로 오는 10월 13일까지 98일간 선거운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선거일은 10월 14일이며, 같은 날 부회장 및 이사 선임이 함께 이루어집니다. 각 도별 소견발표는 8월 25일부터 9월 26일까지 5주간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근선 기자(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