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돈 초기 건강관리, ‘단순화’와 ‘효율화’의 균형을 맞추다! 돼지의 생애 초기에는 자돈의 이유 전후 생존율과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처치들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생후 며칠 이내에 철분제(글렙토페론)와 항콕시듐제(톨트라주릴)를 투여하고, 이유 전에는 써코바이러스 및 마이코플라즈마(유행성 폐렴) 백신을 접종한다. 특히 최근에는 항생제와 사료 내 산화아연 사용이 제한되면서, 이유 후 자주 발생하는 '부종병(Edema Disease, 이하 ED)'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 접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자돈에게 흔히 발생하는 '철분결핍성 빈혈(IDA)'과 '콕시듐증(Swine Coccidiosis)'은 원샷 복합주사제 포세리스(철분 + 항콕시듐제)를 통해 간편하게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이유 이후 '시가톡신 생성 대장균(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STEC)'이 분비하는 시가독소(Stx2e)에 의해 발병하는 부종병은, 어린 자돈에 에코포크 시가(Ecoporc Shiga)를 접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자돈의 스트레스는 줄이고, 효율은 높이고! 국내외에서는 자돈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농장의
[질문] 부종병이 발병한 경우에만 부종병 백신을 접종하는 것과 상시로 접종을 하는 것 중에서 어느 쪽이 농장에 더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부종병이 발병하면 당연히 백신을 접종해야 된다. 하지만 백신을 접종한 후에 부종병과 관련된 임상증상(안검부종 및 신경증상)이 사라졌다고 부종병이 농장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부종병을 유발하는 대장균은 환경 저항성이 높아 돈사에서 최소 6개월에서 1년간 생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백신 접종을 중단하면 부종병이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상증상은 없지만, '준임상형' 부종병으로 전환되어 이유 말기에서 육성 초기 시기에 '성장정체'를 유발하기도 한다. 그래서 부종병 백신 접종 여부를 임상증상 만으로 판단하면 안 된다. 임상증상이 사라지거나 완화되어도 최소 6개월에서 1년은 지속적으로 부종병 백신을 접종해야 농장에서 부종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부종병이 발병한 농장은 상시 접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PRDC 또는 위 기고 내용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세바코리아(070. 8277. 4747 / 카카오톡채널: 세바코리아 / cevakorea@ceva.com)로 문의주시기 바랍
세바코리아(대표 김용석)는 이달 5월 오리지널 부종병 백신 '에코포크시가(Ecoporc Shiga)'를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에코포크시가'는 세계적인 동물의약품 회사 '세바(CEVA)'의 혁신적인 백신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항원량을 극대화시킨 오리지널 부종병 백신입니다. 포유자돈에 1회 접종으로도 부종병을 유발하는 대장균의 시가톡신(베로독소)에 대한 중화항체를 충분하게 형성시킵니다. 이를 통해 이유부터 출하까지 효과적으로 부종병의 임상증상을 감소시키고 폐사를 예방하며, 증체량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이같은 내용으로 지난해 11월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정식 판매 허가를 받았습니다. 세바코리아 김지운 양돈 마케터는 “부종병이 문제가 되고 있는 양돈장에서는 에코포크시가를 통해 부종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생제 및 산화아연 사용 감소, 증체 개선 등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라며, "앞으로 에코포크시가는 농장에서 반드시 선택해야 하는 백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습니다. 부종병은 시가톡신을 생성하는 대장균(STEC/VTEC)에 의해 발생하며, 시가톡신이 모세혈관을 손상시키면서 안면부종 등의 임상증상을 나타냅니다. 또한, 급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