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호흡기 복합 감염증(PRDC)의 주요 1차 병원체인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 hyo)와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은 복합 감염 시 농장에서 폐사율 증가와 심각한 성장 저하를 초래하여 양돈 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두 병원체에 대한 백신 접종은 돼지의 호흡기 건강과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현재 국내 많은 농가에서는 이유 전 자돈에게 M. hyo와 PCV2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폴란드에 위치한 농장에서 두 가지 M. hyo 및 PCV2 백신 프로그램, 즉 세바(CEVA)의 듀오 프로그램(하이오젠 및 써코백)과 A사의 마이코 & 써코 백신 프로그램을 접종한 돼지의 폐 병변과 생산성을 비교했다. 시험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폴란드 내 PRDC(M. hyo, PCV2 양성) 문제가 발생한 세 곳의 농장에서 진행되었다. 세바 호흡기 관리 프로그램(CLP, 관련 기사)을 활용한 폐 병변 스코어링 결과에 따르면, 해당 농장들의 도축돈에서 유행성 폐렴 병변의 유병률은 56%, 감염된 폐의 폐실질 평균 감염률은 21%로 나타나, 심각한 수준의 감염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 hyo)는 돼지의 만성 호흡기 질환인 유행성 폐렴(EP)의 주요 병원체이며, 돼지 호흡기 복합 감염증(PRDC)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병원체 중 하나이다. 유행성 폐렴은 만성적인 기침과 더불어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의 저하 등 준임상적인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PRDC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경우,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RRSV),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SIV),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 등의 병원체와 상호작용하여 농장에서 폐사율 증가와 심각한 증체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3가지 유행성 폐렴 백신 사용이 돼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를 다룬다. 시험 재료 및 방법 이 시험은 스페인의 모돈 5,000두 규모 농장에서 실시되었으며, 돼지에 세바(CEVA)의 마이코 백신 ‘하이오젠’(관련기사), A사의 마이코 백신, B사의 마이코&써코 백신을 접종하여 생산성 지표와 폐 병변 점수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분석했다. 시험 결과 세 가지 마이코 백신 접종 그룹의 일당증체량(g)과 사료요구율(point)은 다음과 같다. 하이오젠 접종 그룹은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는 돼지 유행성 폐렴의 원인체로, 주로 육성비육돈에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해 전 세계 양돈 농가에 큰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돼지 유행성 폐렴은 비말이나 구강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특히 모돈에서 포유자돈으로의 수직 전파는 주요한 조기감염 경로로 지적되고 있다. 이때, 후보돈은 돼지 유행성 폐렴의 순환감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후보돈 순치 전략의 일환으로 유행성 폐렴 백신을 접종할 경우 모돈의 마이코 항원 배출과 자돈으로의 전파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포유자돈에 대한 유행성 폐렴 백신 접종은 농장 내 호흡기 질환 문제를 크게 완화할 수 있다. 본 시험은 후보돈 격리 및 순치 기간 동안 실시한 유행성 폐렴 백신 접종에 따른 효과를 평가했다. 시험 방법 1. 마이코(M.hyo) 음성인 어린 후보돈 180두를 외부에서 도입해 마이코 양성 농장의 격리사에서 순치 시작 2. 후보돈을 60두씩 세 그룹(A, B, C)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하이오젠(유행성 폐렴 백신)을 접종 3. 14주차와 27주차(임신 진단 이후)에는 각 그룹의 후보돈을 대상으로 후두 스왑과 혈액 샘플을 채취 4. 모든 후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운영하는 ‘Ceva Swine Health Portal’에 실린 글을 번역 및 편집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필자 주] 유행성 폐렴 컨트롤이 최우선 과제이다! 2편: 다른 병원체와의 상호작용과 유행성 폐렴 1. 다른 병원체와의 상호작용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는 돼지 호흡기 질병 복합 감염증(PRDC)의 주요 병원체 중 하나로, 면역 반응을 억제하여 복합감염의 발생을 촉진한다. 이는 대식세포의 식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설명되며, 그로 인해 마이코(M.hyo)의 만성감염과 함께 다른 병원체들에 대한 숙주의 감수성이 증가하게 된다(사진 1, 2)(Saade et al., 2020). 복합감염은 바이러스와 세균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다. 마이코(M.hyo)와 복합감염되는 바이러스로는 전 세계 양돈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주요 질병인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Porcine Respiratory and Reproductive Syndrome; PRRS), 돼지 인플루엔자(Swine Influenza Virus; SIV), 그리고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orcine Circovirus Type 2; P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운영하는 ‘Ceva Swine Health Portal’에 실린 글을 번역 및 편집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필자 주] 유행성폐렴 컨트롤이 최우선 과제이다 1편: 유행성 폐렴의 원인체와 임상증상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pneumoniae)는 돼지 호흡기질병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1차 병원체 중 하나이며, 유행성폐렴(Enzootic pneumonia; EP)의 원인체이다(Fraile et al., 2010).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는 전세계에 널리 퍼져 있고 대부분의 농장에 상재 되어있으며, 돼지 호흡기질병 복합 감염증(PRDC)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Garcia-Morante et al., 2015).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오뉴모니아(M.hyo)에 의한 폐병변은 도축장에서 흔히 관찰되는데, 돈군들의 평균 유병율은 24~88%에 달하며(Maes et al., 2001), 농장의 상황에 따라 배치간 관찰되는 정도가 다르다. 여러 병원체들의 상호작용이 호흡기 질병의 임상증상 정도를 증가시키고 생산성을 더 떨어뜨리기 때문에 복합감염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Saade et al., 2020). 유행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CV2)은 직경 20nm 미만의 외피가 없는 원형의 단일가닥 DNA 바이러스이다(Allan et al., 1998; Mankertz, 2012). 써코바이러스(PCV2)는 외피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세제나 소독제에 의한 불활성화와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Ellis, 2000; Ghebremariam and Gruys, 2005). 이 바이러스는 과거에는 이유 후 전신소모성 증후군(PMWS)으로 불렸던 문제를 일으켰는데, 설사, 황달, 호흡곤란, 체중감소, 림프절 비대 등 다양한 임상증상을 일으키며, 상당히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그 이후에는 폐사율은 비교적 감소하지만, 일당증체량 감소, 사료요구율 증가, 다른 병원체에 의한 2차 감염이 발생하면서 손실을 끼쳤다(Alarcon et al., 2011b). 이러한 이유로 이제는 이유 후 전신소모성 증후군(PMWS)보다는 돼지 써코바이러스 연관 질병(PCVAD)으로 더 자주 불리고 있다(Opriessnig and Langohr, 2013). PCV2 바이러스량과 ‘돼지써코바이러스연관질병(PCVAD)’의 관계 많은 연구들에서 PCVAD에 감염된 돼지와 겉보기에 건강해 보이는 돼지들 모
이유 후 전신 소모성 증후군(PMWS)은 1991년 캐나다에서 이유 후 높은 폐사율을 보이는 원인 불명의 소모성 질병으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PMWS는 연구를 통해, 그 원인이 돼지 써코바이러스(PCV2)임이 밝혀지면서, 현재는 ‘PCV2 전신성 질환(PCV2 Systemic Disease; PCV2-SD)’으로 불리고 있다. PCV2 전신성 질환은 써코바이러스 연관 질병(PCVAD) 중 하나로, 주로 이유자돈에서 발생하며, 위축돈 발생, 체중 감소, 창백한 피부, 호흡기 및 소화기 증상을 동반한다. 이환율은 4-30%에 이르며, 폐사율은 최대 20%까지 보고되고 있다. 써코바이러스(PCV2)는 이미 대부분의 농가에서 상재화되어 있으며, 많은 농가에서는 이를 관리하기 위해 자돈에게 써코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그러나 자돈에게만 써코백신을 접종하는 것만으로는 돼지 써코바이러스 연관 질병(PCVAD)을 완전히 해결하기 어려워, 농장에서 여전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자돈 뿐만 아니라 번식돈(모돈, 후보돈)에도 써코백신을 접종하여 써코바이러스의 순환 감염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돼지 써코바이러스 2형(Porcine Circo Virus 2; PCV2)'은 전 세계 양돈 농가에서 상재화된 병원체로, 대부분의 농장이 이미 PCV2에 감염되어 있다. 써코바이러스는 자돈에서 PCV2 전신성 질환을 일으킬 경우 최대 20%의 높은 폐사율을 기록할 수 있으며, 준임상형 감염 시에는 뚜렷한 임상 증상 없이도 일당증체량 감소와 위축돈 비율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모돈에서는 재발, 유산, 미이라화, 태자 흡수 등 생식기 질환을 유발하여 번식 성적을 저하시킬 수 있고, 포유자돈에게 조기 감염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현재 대부분의 국내 양돈 농가에서는 자돈에게 써코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여전히 번식돈에 대한 써코백신 접종은 소홀한 상황이다. 이는 농장 내 순환 감염 위험과 감염 압력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어, 자돈과 모돈 모두에게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잠재된 손실을 줄이고 지금보다 더 나은 번식 및 육성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자돈뿐만 아니라 모돈과 후보돈에게도 써코백을 반드시 접종해야 한다. 이 시험은 불가리아에 위치한 2,700두 규모의 모돈 일관농장에서 진행되었다. 이 농장은 덴마크 종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올인-
산청군의 명품 '산청흑돼지(관련 기사)'가 국제가축등록시스템에 등재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에서 보존·육종한 6축종 15자원(품종·계통)이 '유엔식량농업기구(UN FAO)'가 운영하는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새로 등재됐다고 최근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지난 6월 24일 외부 전문가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총 18자원을 대상으로 자원 특성, 보존 현황, 생산성, 집단 구성 등 14개 항목을 심의해 최종 돼지·소·닭·개·토끼·호로새 등 15자원을 선정했습니다. 이로써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우리나라 자원은 22축종 155자원에서 23축종 170자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번에 새로 등재된 가축 가운데 돼지는 ▶산청흑돼지 ▶K-자돈이 ▶K-자돈이 백색 등 3자원입니다. 역대 34번째, 35번째, 36번째 등록 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한만희 센터장은 “이번 등재로 우리 고유 가축유전자원의 위상이 국제적으로 높아졌으며, 유전자원 주권 확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라며 “자원 보존과 활용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미래형 축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습니다. 한
지난 금요일(11일) 이재명 대통령이 퇴근 후 서울의 한 삼겹살 전문당에서 대통령실 직원과 식사를 하는 장면이 공개되어 화제입니다. 이날 대통령은 식당 관계자뿐만 아니라 식당을 찾은 시민들과도 스스럼없이 대화를 했습니다. 식사 후 SNS에 이 대통령은 "금요일 퇴근길, 직원들과 저녁 식사를 함께했다. (또한) 가게 사장님과 직원분들, 식사하러 오신 손님들과 마주 앉아 실제 체감하는 경기 상황과 물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도 가졌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골목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오는 21일부터 시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소비를 촉진해 침체된 골목상권에 온기를 불어넣고,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주길 기대한다. 내수 회복을 위한 후속 대책도 선제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전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다양한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열정! '이기홍'
한돈발전, 정부와 국회를 설득할 유일한 후보 '한동윤'
내 일처럼 해결하는 실천형 리더 '구경본'
제21대 대한한돈협회 회장 선거(10.14일)를 위한 기호 추첨 행사가 8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추첨 결과 기호 1번은 구경본 후보(전북 진안), 기호 2번은 이기홍 후보(경북 고령), 기호 3번은 한동윤 후보(경북 영천)로 결정되었습니다. 공교롭게 나이순(각각 '66년, '67년, '73년생)입니다. 모두 50대입니다. 이들은 이날부터 오는 10월 13일까지 이름과 함께 기호를 알리는 선거운동을 벌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