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도매시장(경매시장)뿐만 아니라 경매비율(전체 출하두수 가운데 상장두수)이 매년 감소 추세입니다. 올해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돼지 도매시장 숫자는 불과 7개(제주 제외) 정도입니다. 경매비율은 2.1%(상반기, 제주 및 등외 제외) 수준까지 줄어 1%대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돼지 도매시장 붕괴 위기 직전'입니다(관련 기사). 향후 도매시장이 실제 붕괴되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경우 농장을 중심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챗GPT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물어봤습니다. 여러분의 생각과 맞는지 살펴보세요.] 도매시장은 현재 돼지 거래가격의 기준점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시장의 수급 상황과 품질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도매시장이 붕괴되면, 농장들은 가격 결정의 기준을 잃게 되어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격 책정의 불확실성 증가 도매시장이 사라지면, 돼지 가격은 시장의 수급이나 거래의 투명성을 바탕으로 형성되지 않게 됩니다. 가격을 정하는 기준이 불명확해져 농장들이 예측 가능한 가격을 설정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는 가격 변동성을 증가시키고, 농장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듭니다.
지난 5일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과 관련하여 농축산물 추가 개방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혔습니다. 농식품부는 지난 3일 한겨레신문의 '한-미 FTA 개정 협상, 또 농민희생 언급하나'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정부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에서 농축산물의 추가 개방을 협상 시나리오의 하나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내용과 관련하여 '정부는 농축산물 추가 개방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며 오히려 '불합리한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는 농민 단체 등의 여론이 있는 상황이라고 해명자료를 냈습니다. 한겨레신문은 3일 사설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들의 보고서에서 쌀을 제외한 농축산물 추가 개방을 ‘현실성 높은’ 협상 시나리오 중 하나로 검토하고 있다'며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감귤·포도 등 농축산물 176개에 대해 관세 철폐 기간을 더 당기거나 단계적으로 개방을 확대하는 방안을 10일 열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 개정 공청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한겨레신문이 주장하는 '우리 정부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에서 농축산물의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