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적어도 한국에서는 매년 모든 돼지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지속적인 백신 접종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지만, 'PED 바이러스(PEDV)'와 관련하여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많은 문제들이 있다. PED 역학 연구에서 이전에 PED 발병을 경험했던 농장에서 반복적인 발병이 매우 흔하게 발생한다. PEDV의 전파 경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감염된 분변과의 직접 접촉이 주요 전파원일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PEDV의 수직 전파에 대한 증거를 찾는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태반을 통한 PEDV의 수직 전파에 대한 과학적 결과를 제시한 최초의 연구이다. 분자 및 면역학적 분석을 통해 새끼 돼지의 고환 조직과 PEDV 양성 모돈의 탯줄에서 PEDV를 발견했다. 또한, 탯줄에서 PEDV를 성공적으로 분리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PEDV가 모돈에서 새끼 돼지로 수직 전파된다는 것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본 연구 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적어도 PEDV 확산은 예상보다 훨씬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PEDV 확산 예방을 위한 백신 프로그램 설계에 도움이 될
"검사 결과를 어떻게 이용할지 계획이 없다면 검사하지 마라. 약품회사가 무료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해서 진단하지 말라." 지난 27일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사장 서승원, 이하 베링거인겔하임)은 자체 유튜브 채널을 통해 알렉스 라미레즈 교수(아이오와 주립대학)의 '최신 양돈 질병의 진단 방법과 그 적용 사례' 강연을 공개했습니다. 강연에서 라미레즈 교수는 점차 규모화되고 있는 돈군에서의 효과적인 호흡기 질병에 대한 진단 방법과 최신 기술을 소개했습니다. 전통적인 고비용의 혈액(혈청) 샘플 검사에서 벗어나 돈군의 질병 수준을 더 적은 비용으로, 쉽게 모니터링하고 진단하는 방법을 전했습니다. 라미레즈 교수는 돈군이 점점 커지면서 개체가 아닌 돈군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해졌다며, 진단 비용을 낮추면서 어떻게 하면 개체가 아닌 돈군의 상태를 더 잘 평가할 수 있을까를 참석자들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특히, 돈군의 질병 정도인 유병률이 낮으면, 더 많은 샘플 검사를 하는 상황에서 적은 수의 샘플로는 돈군을 진단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현재의 혈청검사는 특정 병원체에 대한 검사를 실시해야만, 그 질병의 유무를 알 수 있고, 모든 돼지가 같은 상황이 아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