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부종병(ED)'은 Stx2e를 생성하는 대장균에 의해 발생하는 장독소혈증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조합 Stx2e 톡소이드를 돼지부종병 백신 후보물질로 사용하여 돼지부종병 예방 효과를 평가했다. 재조합 Stx2e 톡소이드는 시판 대장균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현 및 정제되었다. 총 25마리의 돼지를 사용하여 각 군당 5마리씩 5개 군(A~E)으로 나누었다. A군을 제외한 모든 돼지는 생후 5일(최초 접종 후 0주, WPPI 0)과 생후 3주(WPPI 2)에 근육주사로 접종했다. B군 돼지는 멸균 PBS(인산완충식염수)로 접종하였고, C군에서 E군까지는 각각 재조합 톡소이드를 돼지 1마리당 25μg, 50μg, 100μg으로 면역화하였다. B군에서 E군의 모든 돼지는 생후 5주(4 WPPI)에 병원성이 있는 야생형 Stx2e⁺ F18⁺ 대장균 분리주를 경구로 공격 접종하였다. D군과 E군의 혈청 IgG 역가는 2 WPPI에서 연구 종료 시점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공격 접종 후 7일 동안 A군과 E군에서는 임상적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B군, C군, D군에서는 각각 80%, 60%, 20%에서 돼지부종병의 임상적 징후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
최근에 아스트로바이러스(AstVs)와 관련된 신경계 질환이 돼지, 반추동물, 밍크, 인간에서 보고되었다. 2017년 헝가리와 미국에서 뇌척수염을 보이는 돼지의 중추신경계(CNS)에서 신경침습성 돼지 아스트로바이러스(Ni-PAstV) 3형이 검출되었다. 국내 돼지에서 신경학적 증상을 보이는 개체들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화농성 뇌척수염과 뇌막염, 신경세포의 빈혈구화, 신경교증(Gliosis)를 특징으로 하는 조직병리학적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2020년 8월부터 9월까지 한국 내 3개 농장(정읍, 함양 소재)에서 채취된 4마리의 돼지(4~8주령) CNS 샘플에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통해 PAstV가 확인되었다. 이후 3개의 뇌 샘플에서 ORF2 부위(region)가 성공적으로 분리되어 후속 분석이 가능해졌다. PAstV의 4가지 유전형(PAstV1, 3, 4, 5)이 검출되었으며, 뇌 샘플에서 PAstV의 다중 유전형 동시 감염이 관찰되었다. 이는 한국에서 돼지에서 Ni-PAstV 감염을 보고한 첫 번째 연구이다. [논문 원문(바로보기), Porcine Astrovirus Infection in Brains of Pigs in Korea,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PRRSV)'는 유전적 다양성이 높고 독성 수준이 달라 질병 관리와 백신 개발을 복잡하게 만들고, 그 결과 전 세계 양돈산업에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일 세포 전사체학(single-cell transcriptomics)'을 포함한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병원성을 가진 PRRSV 균주(JB15-N-M8-GN; NA8, JA142 및 JB15-N-PJ10-GN; NA10)에 따른 '기관지폐포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의 면역 세포 구성의 종단적 변화(longitudinal changes)와 임상 결과를 평가했다. 고(高) 병원성 감염의 경우 바이러스 복제 속도가 빨라지면 폐 손상 시간의 피크가 더 일찍 발생한다. 이때, 심각한 간질성 폐렴, 대식세포의 현저한 감소, 림프구의 유입이 나타난다. 바이러스 추적 결과 대식세포의 5% 미만이 직접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분석 결과 주변 세포의 사멸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엑소좀 마이크로RNA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조절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중간 정도의 병원성 감염의 경우, 폐 손상 시간의 피크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은 전북대학교(김원일 교수팀), 중앙대학교(김준모 교수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RRS,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른 호흡기 감염 경로 차이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4주령 돼지에 각기 다른 강도(저, 중, 고)의 병원성 PRRS 바이러스를 접종하고, 임상 증상과 기관지 내 세포의 유전자 발현 정보를 분석하고, 면역반응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PRRS 바이러스는 핵심 면역세포인 '폐포 대식세포'를 감염시키는데, 바이러스의 병원성 차이에 따라 감염된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면역 관련 대사물질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고 병원성 바이러스는 빠른 증식으로 간질성 폐렴을 유발하고 면역세포를 감소시키고 림프구 유입을 증가시켰으나, 중·저 병원성 바이러스로 인한 폐 손상은 상대적으로 완만했으며, 면역세포 구성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또한, 감염된 세포가 비감염 대식세포의 감염을 유도하는 것도 확인했습니다(감염 세포 유래 엑소좀 microRNA →비감염 대식세포(Bystander cell)의 사멸 유도). 중병원성
'PRRS 바이러스(PRRSV)'는 전 세계 돼지산업에서 중요한 병원체이다. 이 바이러스는 돼지에서 광범위한 독성과 함께 높은 유전적 변이를 보인다. 한국 전역에서 여러 계통의 바이러스가 유행했지만 계통별 병원성 특성은 대체로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행하는 NADC30 유사(L1C; JB15-N-P31-GB, JB15-N-PJ73-GN), VR2332 유사(L5; JB15-N-M8-GN, JB15-N-PJ4-GN, CNCY42) 및 국가 특이적 계통 3종(리니지 LKA, LKB, LKC) 등에서 선택된 11개의 대표적인 한국 PRRSV-2(북미형) 분리주의 병원성을 분석하고 비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11개의 돼지 그룹에 4회의 연속 동물 실험을 통해 하나의 한국 PRRSV-2 분리주를 실험적으로 감염시켰다. 각 4주 공격 실험 기간 동안 체중과 체온을 기록하였고, 수집된 샘플에 대해 바이러스학적, 혈청학적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동물 실험의 데이터는 상관관계 및 '주성분 분석(PCA)'을 통해 (바이러스) 배출 및 임상적 징후의 두 가지 지표로 통합되었다. 각 지표를 사용하여 PRRSV-2 분리체를 비교하기 위해 메타분석이 사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토믹소 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외피, 분절, 단일 가닥, 음성 감지 RNA 바이러스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A, B, C, D 바이러스(IAV, IBV, ICV, IDV)의 4종류가 있으며, 돼지에게 감염될 수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IAV, ICV, IDV의 3종류뿐이며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IAV에 비해 ICV와 IDV의 유병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양돈장의 IAV, ICV, IDV 유병률을 파악하기 위해 2023년 10월 31일부터 12월 14일까지 40개 양돈장에서 1,602개의 비강 면봉과 200개의 구강액 샘플을 채취했다. 이후 유전자 특이 프라이머를 사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통해 IAV, ICV, IDV를 선별했다. 연구 결과, 40개 농장 중 23개 농장(57.5%)에서 IAV 양성 반응이 나왔으며, 이 중 전체 1,802개 검사 샘플 중 72개(4.0%) 샘플에서 IAV가 검출되었다. 비강 면봉에서는 2.7%, 구강액에서는 14.5%의 양성 시료 비율이 나와 이전 연구보다 훨씬 높았다. 이유자돈은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지난 16일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체험 견학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견학 프로그램에는 40여 명의 전북대학교 수의대학생들이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검역본부의 주요 업무 소개를 들은 후 구제역백신연구센터, 동물 부검 및 질병진단 관련 실험실, 세균성·바이러스성 가축질병 연구실 등을 직접 보며 수의분야 공무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진로체험 견학 프로그램은 '미래 수의사를 찾아가는 공직설명회'와 연계해 검역본부의 업무 현장 및 연구시설 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관련 기사). 전국 10개 수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오는 7월까지 진행 예정입니다. 김정희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수의과대학생들이 수의분야 공직을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고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검역본부 견학을 마련했다”라며, “이번 견학 프로그램을 통해 역량 있는 수의과대학생들이 공직자로의 꿈을 키워가길 기대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득흔 기자(pigpeople100@gmail.com)
코미팜(대표 문성철) 중앙연구소는 전북대학교 탁동섭 교수 연구팀과 함께 최신 유행하는 G2b 유전형 돼지유행성설사병(이하 PED)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접종법을 도입한 PED 백신을 개발 진행 중이라고 최근 밝혔습니다. PED는 전 세계적으로 양돈산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질병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과 2014년에 걸쳐 큰 유행이 있었고, '20년 45건, '21년 31건으로 발생이 감소했다가 '22년 234건으로 발생이 크게 증가한 바 있습니다(농림축산검역본부, '23년 상반기 가축전염병 중앙예찰협의회 자료). 지난해의 경우 현재까지 보고된 발생건수는 69건입니다(농림축산검역본부 KAHIS, '23.12.31 기준). 이 같은 상황 속에 국내 PED 예방 백신의 시장 규모는 76억 원까지 커졌습니다(단일 백신 기준, '22년 동물용 의약품 등 수입 판매 실적, 한국동물약품협회). 대부분(56억) 사독백신이며, 경구백신을 포함한 생독백신은 사독백신의 1/3 수준(20억)입니다. 사독백신이 3배 가까이 더 많이 쓰이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정부의 권장 프로그램(생-사-사) 영향입니다. 여기에 더해 농장의 불안심리로 사독 추가 접종이 한몫했을 것으
전 세계적으로 NADC34 유사 PRRS 바이러스(NADC34-like PRRSV)가 출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리니지(계통) 1의 PRRS 바이러스가 출현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NADC34 유사 PRRS 바이러스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2022년 7월에 높은 폐사율과 유산율을 유발하는 심각한 PRRS가 발생한 국내 농장의 MLV(약독화 생독) 백신 접종 돼지 샘플에서 최초의 NADC34 유사 PRRS 바이러스 균주를 분리한 것을 보고한다. 전체 게놈 길이가 15,088bp인 세 개의 PRRS 균주를 분리하여 계통 발생, 재조합 특성 및 시험관 내 성장 동역학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ORF5 유전자와 전체 유전체를 기반으로 한 계통학적 분석에 따르면, 이들 한국 균주는 미국 및 중국 아계통 1.5(NADC34 유사 균주)와 군집을 이루었습니다. 재조합 분석에 따르면 세 개의 완전한 게놈 서열은 모두 RespPRRS MLV와 NADC34 유사 균주 간의 재조합에서 유래했다. 전장 Nsp2 염기서열 정렬은 세 분리주 모두 100 aa에서 연속적인 결실을 보였으며, 이는 IA/2014/NADC34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통 발생학적 분석과 Nsp
지난 5월 제주에서 열린 제45차 한국동물위생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이제는 양돈장에서 필수 설치 의무화 시설인 '전실'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주목받았습니다.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방역대학원 연구팀(조정준 수의사 외)은 전실이 실제 바이러스나 세균 등 병원체가 돈사 내로 유입·확산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지 등의 차단방역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서로 다른 비육돈 돈사를 크게 3종류로 나누어 마련하였습니다. ▶전실 완전 설치 돈사 ▶전실 불완전 설치 돈사 ▶전실 미설치 돈사 등. 전실 완전 설치 돈사는 돈사 입구에 신발을 갈아신기 위한 충분한 공간과 차단벽, 발판소독조 등이 마련된 곳입니다. 외부구역과 내부구역이 명확히 구분되었습니다. 이에 비해 전실 불완전 돈사는 내외부 구역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공간이 협소하고, 출입시 발판소독조 등에 의존합니다. 전실 미설치 돈사는 말 그대로 전실이 없는 돈사입니다. 출입이 보다 자유롭습니다. 결론적으로 내외부 신발 교체를 하는 곳은 전실 완전 설치 돈사 한 곳뿐입니다. 이어 연구팀은 이들 돈사 입구 바닥에 3종의 바이러스(PRRS, PED, CSF; 모두 백신 균주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