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도시의 화분, 농촌의 희망이 되다
도시의 풍경은 바쁘고 밀도 높지만, 그 안에도 작고 푸른 변화가 자라고 있다. 아파트 베란다의 화분, 옥상 한편의 텃밭, 골목길의 식물정원까지. 도시농업은 이제 단순한 취미를 넘어, 도시민의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다. 누군가는 퇴근 후 직접 키운 채소로 저녁상을 차리고, 누군가는 자녀와 함께 흙을 만지며 하루의 피로를 덜어낸다. 그렇게 도시 한복판에서 흙과 식물, 햇볕과 비를 매개로 도시와 자연은 다시 연결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의 2025년 조사에 따르면 도시농업 참여자는 10년 전보다 220%나 늘었고, 도시 텃밭 면적도 180% 이상 증가했다. 국민 3명 중 1명이 반려식물을 키우고 있다는 통계는 도시민과 자연의 거리가 그리 멀지 않음을 보여준다. 도시농업은 단순히 채소를 기르는 활동을 넘어, 삶을 건강하게 돌보고, 지역 공동체를 잇고, 환경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문화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눈여겨볼 또 하나의 움직임은 농촌에서 생산된 가축분뇨 퇴비와 액비가 도시농업 현장으로 흘러들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멀게만 느껴졌던 가축분뇨의 처리 과정이, 이제는 도시의 채소, 과일 등의 먹거리를 떠받치는 자원이 되어 다시 도시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