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회장 김용철, 이하 육류협회)가 지난 9일 '돼지고기 시장 동향분석회의'를 열고 이달 돼지 도매가격을 전년 대비 12~17% 상승한 5,500~5,700원으로 전망했습니다(관련 기사). 이는 역대 4월 도매가격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이에 대해 육류협회는 '시장소비가 여전히 최악의 상황인 가운데 도매시장 경매두수(경락두수)가 급감한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숫자까지 제시하며 전년 대비 17.0%나 감소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올해 도매시장 경매두수, 전년 대비 -17%' 주장은 사실일까요? 예. 사실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월별 돼지 경매두수(제주 및 등외 제외)는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년 대비 11개월 연속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감소세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1월 3만4천 두, 2월 3만5천 두에 이어 3월에는 3만 두를 기록, 역대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육류협회의 -17% 감소는 지난해와 올해 1분기 총 경매두수 비교에서 나왔습니다. 올해 1분기 경매두수는 9만9천 두입니다. 지난해 1분기(11만9천) 대비 2만 두 줄어들었습니다. 2만 두 감소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8일 돼지 평균 도매가격(제주 제외)이 3,916원을 기록, 모처럼 4천 원대에 근접했습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가격입니다. 이는 이날 전국(제주 제외)의 10개 돼지 도매시장 경락가격이 3,600~4,100원 사이를 형성한 결과입니다. 그런데 같은 날 도드람 안성공판장의 경우 1두이지만, 2,910원에 거래되었습니다. 당일 공판장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서 거래가 중단된 여파입니다. 이 때문에 이날 3,916원의 높은 돼지 평균 도매가격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안성공판장 경매만 아니면 4천 원 이상을 기록했을 것이라는 안타까운 목소리가 일부 나왔습니다. 사실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돈가', '돼지 평균 도매가격'은 정확히 말하면 '돈육 대표가격'을 말합니다. 이는 단순히 도매시장 혹은 개체 가격 평균이 아닙니다. '돈육 대표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산정하는데 도매시장 경락가격의 합계액을 도체중량 합계액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다시 말하면, 전체거래대금에서 전체거래중량을 나눈 값입니다. 전체거래대금은 낙찰된 도체의 도체중(kg)에 해당도체의 경락단가를 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