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돈사 화재 발생건수는 전달 및 지난해보다 증가했지만, 건당 피해규모는 작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5월 한 달간 발생한 돈사 화재 건수는 전국적으로 모두 13건입니다. 이는 전달인 4월(11건)과 지난해 5월(11건)보다 2건 더 많이 발생한 수준입니다. 휴일 새벽 공주 양돈장서 불...모돈 10마리 폐사 간밤 철원서 대형 화재.....모돈 160여 마리 폐사 천장 환풍기 과열로 불...비육돈 600마리 폐사 의성서 낙뢰로 화재.....자돈 60마리 폐사 간밤 경남 함안 자돈사서 불....자돈 1,100여 마리 폐사 수요일 밤 분만사에서 불...모돈 등 돼지 450여마리 폐사 13건 발생에 따른 재산피해액은 7억 2천만 원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건당 5천 5백 원입니다. 이는 전달 1억 4천 만 원, 지난해 5월 6억 4천만 원보다 크게 감소한 규모입니다. 화재 발생건수는 증가했지만, 건당 피해는 적었다는 얘기입니다. 비교적 화재를 조기에 발견·진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5월까지 누적 돈사화재 발생건수는 모두 65건입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82건)보다 17건이나 적은 발생건수입니다.
지난주 돼지 도매가격이 4주 연속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이번주도 또 떨어져 5주 연속 하락이 확실시 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지난해 가격 수준보다 낮은 것은 물론입니다. 아직 캐나다산 등 무관세 할당관세 물량 4만 5천 톤이 풀리기 전이고 독일산 돼지고기의 수입 재개를 앞둔 시점이어서 향후 가격 전망이 더욱 암울해 보입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올해 23주차인 지난주(6.4-10) 돼지 평균 도매가격은 5654원(kg당, 등외 및 제주 제외)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주(5719원)보다 1.1% 낮은 가격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6039원)보다는 무려 6.3% 적은 가격입니다. 아울러 19주차(6016원) 이후 4주 연속 하락한 가격입니다. 24주차인 이번주 역시 가격 하락 흐름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14일 5522원, 15일 5625원 형성에 그쳐 가격 반등은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입니다. 5주 연속 가격 하락이 확실시 되는 모양새입니다. 최근 돼지 도매가격이 지난해보다 낮게 형성되고 있는 것은 지난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분위기로 돼지고기 수요가 컸던 반면, 올해는 고금리와 경제침체에 따른 돼지고기 소비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
지난달 한돈산업은 돼지 156만 마리를 출하해 한돈 9만 3천 톤을 대한민국 시장에 공급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 기간 수입산 돼지고기와 소고기는 각각 4만 4천 톤, 총 8만 9천 톤이 수입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5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5858원(kg당, 등외 및 제주 제외)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달대비 11.1% 상승한 수준이지만, 올해 처음으로 전년동월대비 감소한 가격입니다. 무려 8.3%나 적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 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보다 2.9포인트 상승한 98.0입니다. 세 달 연속 상승입니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4.6포인트가 낮습니다. 12개월째 기준선인 100 이하 상태입니다. 일련의 암울한 경제 상황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1.5%에서 1.3%로 하향했습니다. 고금리에 따른 소비 여력 감소를 하향 근거 가운데 하나로 꼽았습니다. 돼지고기 소비자가격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5월 국내산 냉장 삼겹살의 소비자가격은 전월대비 12.3% 상승, 전년동기대비 5.8% 감소한 2639원입니다. 수입 냉동 삼겹살의
전광판을 통해 한돈산업 관련 월별 일별 주요 정보와 단신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돼지와사람] ◆ 6월 등급판정두수 및 도매가격, 수입육, 소매가격, 한돈재고동향, 소비자심리지수 요약(TBU 업데이트 예정) ◆ 이달의 한돈산업 관련 주요 단신 - 1일 농림축산식품부, 돼지고기 4만 5천 톤 규모 할당관세 공고(냉장 2만 5천, 냉동 2만) - 2일 통계청 5월 소비자물가동향 111.13으로 전월대비 0.3% 상승, 전년동월대비 3.3% 상승 - 8일 농림축산식품부, 고병원성 AI 자체 청정국 선언 - 9일 한국경제연구원,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1.5%에서 1.3%로 하향...고금리 따른 소비 여력 감소, 주요국 경기 불황으로 인한 대외부문 부진 영향 - 13일 현대경제연구원,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 1.8%에서 1.2%로 대폭 하향...국내외 주요 기관 중 가장 낮은 수치 - 14일 한국은행 5월 수입물가지수 135.54로 한 달 전보다 2.8% 하락.....4개월 만에 하락 전환 - 14일 통계청 5월 고용동향 작년 같은 달보다 35만1000명 증가, 고용률 63.5%로 사상 최대 - 15일 농식품부, 청주·증평 구제역 방역지역 이동 제한 해
통계청이 지난 26일 '2022년 축산물생산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비육돈의 경우 100kg 생산비가 34만6천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29만8천 원보다 4만7천 원(15.9%) 증가한 수준입니다. 15.9%는 전체 축종 및 축산물 가운데 계란(21.0%) 다음으로 두 번째 높은 증가율입니다. 비육돈의 경우 사료비와 자가노동비 등뿐만 아니라 가축비가 증가한 것이 주요 상승 원인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에 따른 비육돈 마리당 순수익은 5만7천 원입니다. 전년 대비 1만1천 원(16.6%) 줄어들었습니다. 비육돈 산지가격이 전년보다 상승했지만, 사육비 증가만큼 못 받춰준 영향입니다. ''21년 마리당 사육비는 39만3천 원으로 전년(34만)보다 5만3천 원이 증가했습니다. 사육규모별 사육비는 ▶1000마리 미만 46만5천 원 ▶1000~1999마리 41만8천 원 ▶2000~2999마리 39만2천 원 ▶3000마리 이상 37만 5천 원 등입니다. 각각의 순수익은 ▶1000마리 미만 -2만1천 원 ▶1000~1999마리 3만1천 원 ▶2000~2999마리 6만5천 원 ▶3000마리 이상 7만4천 원 등으로 집계되었습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7일 발표한 '6월호 돼지관측 보고서'를 통해 6월 돼지 평균 도매가격을 5700~5900원/kg으로 전망했습니다(관련 기사). 이는 전월(5828원) 및 지난해 6월(5829원) 가격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농업관측센터는 먼저 6월 도축두수를 지난해(145만 두)와 비슷한 142~146만 두로 예측했습니다. 올해 모돈 사육두수가 지난해보다 감소했지만 이유후 육성률, MSY 등 농가의 생산성이 향상되었고 도축 작업일수가 증가한 영향입니다. 5월까지 등급판정두수는 788만 두로 지난해 같은 기간(783만 두)보다 소폭 증가(0.6%)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6월 돼지고기 수입량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구체적으로 3만 4천에서 3만 6천 톤이 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농업관측센터는 '수입 수요는 증가했지만, EU산 수입단가 상승 영향으로 전년(3만 5천 톤)과 거의 유사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5월까지 돼지고기 수입량은 모두 18만 5천 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0만 1천 톤보다 8.2% 감소한 상황입니다. 또한, 농업관측센터는 3월까지 파악한 전체(국내산·수입산) 돼지고기 재고량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오는 3분기 사료용 곡물 가격이 지난해 2분기 수준으로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연구원이 매달 발행하는 곡물관측 6월호에 따르면 3분기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2015년=100 기준)는 158.8입니다. 이는 전 분기(167.3) 대비 5.0%, 전년 동기(191.0) 대비 16.9% 각각 하락한 수준입니다. 지난해 2분기 수입단가지수와는 같습니다. 사료용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지난해 3분기 191.0을 정점으로 최근 하락 추세입니다. '22년 4분기는 176.9, '23년 1분기는 160.4, 2분기는 167.3 등을 기록 중입니다. 지난해 3분기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국 파종 지연, 대미환율 급등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연구원은 "선물가격 하락 추이를 보인 지난 1분기에 구매한 물량이 (이번 3분기에) 주로 도입되면서 수입단가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습니다. 연구원의 곡물 수입단가지수는 국내 수입액 가중치(최근 5개년 평년) 및 IHS Global Insight 대미 환율 전망치등을 이용해 산출합니다. 향후 수입단가지수 전망치는 곡물 가격뿐만 아니라 곡물 구매시기와 국내 반입 및 통관 시차,
지난 26일 정부가 소비자 가격 안정을 이유로 하반기에 4만 5천 톤 규모의 돼지고기 '무관세' 할당관세 추진을 결정했습니다(관련 기사). 이런 가운데 돼지 경매가격은 2주째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정책 오판이라는 지적이 자연스럽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올해 21주차(5.22-26일) 돼지 평균 도매가격(제주 및 등외 제외)은 5805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주(5857원)보다 0.9%, 2주 전(6016원)보다 3.5% 감소한 수준입니다. 2주 연속 가격 하락입니다. 26일은 5414원까지 떨어져 농가의 가격 패닉을 유발했습니다. 이 같은 가격 하락은 소비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지난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서 1분기 가계 지출에서 음식·숙박은 지난해보다 21.2% 증가한 반면 식료품 등 지출은 2.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식은 늘었지만, 집밥은 줄었다는 얘기입니다. 외식 지출 증가분 가운데 상당 부문은 물가 상승 영향으로 소비량 자체가 늘었다는 얘기도 아닙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산 돼지고기 재고는 증가하고 있는 양상입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 따르면 국내산 돼지고기 재고량은
산청군의 명품 '산청흑돼지(관련 기사)'가 국제가축등록시스템에 등재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에서 보존·육종한 6축종 15자원(품종·계통)이 '유엔식량농업기구(UN FAO)'가 운영하는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새로 등재됐다고 최근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지난 6월 24일 외부 전문가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총 18자원을 대상으로 자원 특성, 보존 현황, 생산성, 집단 구성 등 14개 항목을 심의해 최종 돼지·소·닭·개·토끼·호로새 등 15자원을 선정했습니다. 이로써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우리나라 자원은 22축종 155자원에서 23축종 170자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번에 새로 등재된 가축 가운데 돼지는 ▶산청흑돼지 ▶K-자돈이 ▶K-자돈이 백색 등 3자원입니다. 역대 34번째, 35번째, 36번째 등록 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한만희 센터장은 “이번 등재로 우리 고유 가축유전자원의 위상이 국제적으로 높아졌으며, 유전자원 주권 확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라며 “자원 보존과 활용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미래형 축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습니다. 한
지난 금요일(11일) 이재명 대통령이 퇴근 후 서울의 한 삼겹살 전문당에서 대통령실 직원과 식사를 하는 장면이 공개되어 화제입니다. 이날 대통령은 식당 관계자뿐만 아니라 식당을 찾은 시민들과도 스스럼없이 대화를 했습니다. 식사 후 SNS에 이 대통령은 "금요일 퇴근길, 직원들과 저녁 식사를 함께했다. (또한) 가게 사장님과 직원분들, 식사하러 오신 손님들과 마주 앉아 실제 체감하는 경기 상황과 물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도 가졌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골목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오는 21일부터 시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소비를 촉진해 침체된 골목상권에 온기를 불어넣고,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주길 기대한다. 내수 회복을 위한 후속 대책도 선제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전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다양한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열정! '이기홍'
한돈발전, 정부와 국회를 설득할 유일한 후보 '한동윤'
내 일처럼 해결하는 실천형 리더 '구경본'
제21대 대한한돈협회 회장 선거(10.14일)를 위한 기호 추첨 행사가 8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추첨 결과 기호 1번은 구경본 후보(전북 진안), 기호 2번은 이기홍 후보(경북 고령), 기호 3번은 한동윤 후보(경북 영천)로 결정되었습니다. 공교롭게 나이순(각각 '66년, '67년, '73년생)입니다. 모두 50대입니다. 이들은 이날부터 오는 10월 13일까지 이름과 함께 기호를 알리는 선거운동을 벌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