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질환이 돼지고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돼지 호흡기 복합 감염증(PRDC)은 다양한 호흡기 질병 병원체가 복합적으로 감염되어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질병이다. 예방과 치료가 어렵고, 질병이 만성화되면서 특히 육성 및 비육 단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증체 감소, 사료 요구율 증가, 폐사율 증가, 그리고 개체 치료와 사양관리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이처럼 '돼지호흡기복합감염증(PRDC)'가 양돈 농가의 생산 성적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관련 연구 대부분은 생산성을 중심으로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분석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 호흡기 질환이 돼지고기 품질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PRDC로 인한 폐 병변이 육가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한다면, 돼지의 복지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돼지고기의 품질 개선과 도축장 효율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그림 1). 이 글에서는 두부-배측 폐경화(Cranioventral Pulmonary Consolidation, CVPC)와 흉
최근 날씨가 겨울의 초입에 접어들면서, 양돈 농가에서는 돼지 호흡기 질병에 대한 경각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호흡기 질병에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돈군 관리를 소홀히 해 치료 시기를 놓치면 돼지의 건강이 크게 악화될 뿐 아니라, 농장의 생산성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이와 함께 회복을 위한 치료 비용 증가와 증체 감소로 인한 사료 비용 부담 역시 농가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돼지 호흡기 질병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반드시 필요하다. 농장에서는 돼지의 기침 상태와 개체별 임상 상태를 가능하면 매일 두 번 이상, 최소한 하루에 한 번은 점검해야 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관리는 PRDC(돼지 호흡기 복합 감염증)와의 전쟁에서 승기를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울러, 최적의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적절한 돈군 관리와 백신 접종 계획을 수립하면 PRDC를 효과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 체계적인 돈군 관리와 질병 예방 활동은 농가의 생산성을 지키고, 돼지들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돼지 기침 지수 모니터링하기 농장에서 돼지들의 기침 지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