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양돈농가 가운데 PRRS가 활성화(불안정화)된 농장이 40%, 안정화된 농장이 55%, 음성화된 농장이 5%인 가운데 이들 농장의 MSY는 각각 18두 이하, 18~25두 정도, 25두 이상의 성적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PRRS가 활성화된 농장의 경우 디팝을 통한 음성화를 고려할 수 있겠으나 현실적으로 안정화가 목표입니다. 이 과정에서 차단방역은 새로운 바이러스 유입을 막는다는 차원에서 절대 간과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 더해 환경과 영양, 위생, 모돈안정 등의 개선을 실천합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김정현 컨설턴트(신박한컨설팅그룹)는 최근까지 모돈 1800두 규모 농장 대표로서 생산성을 MSY 29두까지 끌어올리는 성과를 이룬 바 있습니다. 그는 높은 수준(PSY 30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농장 위치가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부득이 PRRS 바이러스가 유입되어 자돈 폐사가 많을 경우 디팝, 자돈위탁 등을 시도해볼 것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또한, 양돈현장의 시스템화을 강조했습니다. 관리자가 기본 원칙을 준수하도록 하고, 화재 및 안전사고 등과 같은 경영 위해요소를 최소화할 것을 조언했습니다. 기록은 반드시 정형화하고 전산은 현재형으로 운영할 것도 덧붙였습니다. 정리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지난 시간(바로보기)에는 PED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우리 농장에 PED가 발생했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PED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 A 부터 Z까지!! 오늘은 무조건 보셔야 하는 영상이니 끝까지 집중해서 시청해주세요.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최근 발간한 ‘AFRICAN SWINE FEVER PREVENTION, GILT MANAGEMENT AND SUCCSSFUL RESTOCKING’에 실린 내용을 선진브릿지랩의 도움으로 번역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병원체들은 농장에 매우 파괴적으로 작용하여, 돼지들의 건강한 삶과 농장의 이익 실현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큰 문제가 발생했을 때엔, 해당 병원체를 농장 시설들에서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데텔라 브론키셉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 위축성비염 원인체)나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laris, 회장염 원인체)와 같은 몇몇 병원체들은 농장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다른 일반 동물들에도 이 병원체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청정화 이후에도 빠르게 재감염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돼지에게 피해를 매우 크게 입히는 병원체들 중에서 ASF·CSF 바이러스, 구제역 바이러스, 오제스키병 바이러스 등은 농장에서의 청정화가 가능하다. 이 장에서는 다양한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에 대해 논의해 보겠다.
PRRS 청정화 작업에서 세척과 소독은 어떻게 이뤄져야 할까?(질문국가: 멕시코) 농장의 PRRS 청정화를 목표로 디팝을 계획하고 있다. 수세와 소독작업에서 고려해야 될 단계들은 무엇이 있을까? PRRS 바이러스 청정화 작업에서 필요한 세척과 소독절차는 일상적으로 수행되는 작업과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위탁 비육장에서 기본적인 수세와 소독만 철저히 이뤄진다면, 이전 배치가 PRRS 양성이더라도 다음에 새로 PRRS 음성 자돈을 받아 음성으로 유지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러나 디팝과 PRRS 청정화와 같이 투자가 많이 이뤄지는 중요한 작업이라면, 농장에서 수세와 소독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자체적으로 절차를 점검해 보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단계 확인은 PRRS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다른 병원체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단계들이 농장에서 이뤄지고 있는지 작업자들과 함께 점검해 보길 권장한다: 적절한 수세와 소독 과정을 위해서는 음수관과 물탱크의 관리도 점검 사항에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작업에 사용되었던 도구들은 가급적 모두 교체하거나 세척 후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브러쉬, 삽, 현황기록판, 장화 등). 특히, 수세와 소독
글로벌 백신전문기업 '중앙백신연구소'에서는 양돈에 관한 농가의 다양한 궁금증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이번에 국내 유명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 강의 형태의 유튜브 콘텐츠를 기획하였습니다. 콘텐츠를 통해 양돈 현장에서 바로 실천할 수 있는 해법도 제시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많은 관심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Q. 내 농장의 PRRS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모니터링하는 목적과 방법은? PRRS 청정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1년 2개월이라는 것을 많이 들어보셨죠? 역학 조사와 유입경로 분석을 보시고, 돈군 폐쇄, 번식모돈 면역동기화, 자돈사·육성사 디팝, 세제를 활용한 수세 진행까지 PRRS 완전 박멸을 향해 갈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합시다.
PRRS 양성인 자돈생산 농장에서 안정화 단계에 도달했다가 다시 질병이 발생하였다. 어떤 컨트롤방법을 적용해야 할까? 첫 발생 시처럼 모돈들에 PRRS 바이러스를 인공감염 시키고 돈군을 폐쇄하는 것이 좋을까? 참고로 현재 PRRS 백신은 접종하지 않고 있다(질문국가 : 칠레). 가장 먼저 농장을 PRRS 재감염을 유발하고 불안정한 상태로 이끈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불안정한 PRRS 상황에 대한 대응은 ①외부로부터 새로운 PRRS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과 ②내부 관리의 문제로 기존 PRRS 바이러스가 재순환된 것에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만약①이 PRRS 바이러스가 다른 감염 농장으로부터 온 것이라면(이는 기존에 감염된 PRRS 바이러스에 대한 시퀀싱, 유전자 분석기록이 있으면 쉽게 확인 가능함), 농장의 외부 차단방역 절차와 이와 관련해 발생 가능한 실수들을 체계적으로 점검해 봐야된다. 이러한 차단방역 점검 과정과 개선을 거치지 않으면, 농장에 남아있는 차단방역상 허점으로 인해 동일한 경로로 외부 PRRS 바이러스가 다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여러 차단방역 포인트 중에서 신규 후보돈의 도입과정, 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