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카바이러스 A(SVA)는 돼지의 수포성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 병원체로 밝혀졌다. 이 바이러스는 구제역 바이러스(FMDV)와 같은 수포성 질병을 유발하는 다른 병원체와 임상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수포가 관찰될 때마다 FMDV를 배제하기 위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현재 미주와 아시아 전역에서 SVA가 보고되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 바이러스의 생태가 산발적인 감염에서 풍토병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수포성 질병 외에도 영향을 받은 모돈 농장에서 신생자돈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보고도 있었다. 이 바이러스는 2002년 메릴랜드의 한 실험실에서 PER.C6 세포의 세포 배양 오염 물질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Seneca Valley virus-001(SVV-001)로 명명되었다. 2014년 이전에는 SVA가 북미에서만 발견되었다. 2014년 말부터 돼지의 수포성 병변에 대한 보고와 생후 1주일 미만의 새끼 돼지에서 관찰된 신생자돈 사망률의 증가가 브라질의 돼지 생산 지역 전체로 확산되었다. 이는 북미 이외의 지역에서 SVA 감염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이후 중국,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베트남 등 전 세계에서 발견되었다(역자 주, 한국 미발견 상태). 역
[이 글은 세바(CEVA)에서 최근 발간한 ‘AFRICAN SWINE FEVER PREVENTION, GILT MANAGEMENT AND SUCCSSFUL RESTOCKING’에 실린 내용을 선진브릿지랩의 도움으로 번역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1장 병원체 기본: 돼지열병(CSF)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원인체(Causal agents) 돼지열병(Classical Swine Fever; 이하 CSF)과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이하 ASF) 바이러스는 세계 양돈 산업에서 잘 알려진 두 가지 대표적인 질병이다. CSF는 야생멧돼지와 사육돼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돼지의 전 세계적인 운반과 이동으로 인해 글로벌 이슈가 되었다. 반면, ASF는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며, 근래에 아프리카 외부로 최소 3번 이탈한 적이 있다. 2007년 아프리카에서 조지아로 이탈한 사례는 거대한 대유행으로 이어졌다. Pestivirus속, Flaviviridae과에 속하는 CSF는 상대적으로 작고 둥근 외막을 갖는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CSF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이지만, 지난 100년 동안 염기 서열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검역본부)가 지난해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사업(R&D)으로 수행한 149개 과제(자체 132, 용역 17)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2019년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발표하였습니다. 선정된 주요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구제역 3종 혈청형 감별진단 키트 ▶신속 AI 종란시험법 ▶ASF 국내 분리 바이러스 연구 ▶AI 발생 가능성 평가 프로그램 ▶PED·로타 2종 불활화 백신 ▶붉은불개미 유전자진단 기술 등 입니다. 이를 양돈산업과 관련된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검역본부는 그간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구제역 3종 혈청형(O, A, Asia 1) 감별진단(Ag-ELISA) 키트를 국산화하여 수입산 대비 검사시간(1시간 단축)과 비용( 1/3수준)을 줄이고 검출능력은 향상시켰습니다. ASF 관련 중국산 불법 휴대축산물(4건)에서 검출된 ASF 바이러스 유전자 특성을 분석, 강독주인 제2형 유전형으로서 중국 분리주와 동일함을 확인하여 지난해 6월 해외 유명 저널(Emerging Infectious Diseases)에 발표하였습니다(바로보기). 또한, 돼지유행성설사병(PED)과 돼지로타바이러스 2종 불활화 백신을 개발하였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