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농장의 고질적인 난제 가운데 하나인 '회장염'에 대한 웨비나(온라인 세미나)가 열립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사장 서승원, 이하 베링거인겔하임)은 5월 24일(금) 오전 10시30분에 인터넷을 통해 '돼지 회장염에 대한 진실과 오해'라는 주제로 웨비나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회장염의 정확한 질병 이름은 '돼지증식성장병증' 입니다. 전세계 양돈장에 만연한 질병이지만, 비교적 최근에서야 원인체가 규명되는 등 아직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다행히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어 그나마 양돈 현장에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도구로 현재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웨비나는 국내 회장염의 최고 권위자라 할 수 있는 전북대학교 조호성 교수가 연자로 나섭니다. 조호성 교수는 회장염을 둘러싼 여러 잘못된 상식을 바로 잡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예방과 치료 방법을 제시할 예정입니다. 조 교수는 최근 발족한 '아시아 회장염 연구회(관련 기사)'의 회장이기도 합니다. 베링거인겔하임 정고운 과장은 "회장염균은 돼지뿐만 아니라 새, 쥐, 개, 닭 등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농장에서 회장염 음성 상태를 만들거나 유지하기 어렵다"며, "이번 웨비나를 통
지난 23일 대전 ICC호텔에서 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이하 베링거인겔하임)과 SVC의 공동 주최로 '구제역, 어떻게 할 것인가?'란 주제로 구제역 백신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구제역은 다른 우제류 산업과 함께 양돈산업이 반드시 풀어야 할 당면 과제입니다. 구제역은 2014년 이래로 올해까지 매년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2011년 전국적인 백신 접종을 도입한 후 그 피해정도나 발생양상은 현저하게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백신 도입은 '이상육'이라는 새로운 부작용을 낳아 모든 양돈농가에 큰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습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최신 구제역 발생 상황 및 구제역 백신(박종현 박사, 농림축산검역본부) ▶글로벌 구제역 발생 양상 및 효과적인 해결책, 돼지와 소에서의 구제역(세드릭 박사, 베링거인겔하임) ▶현장에서 본 구제역 현안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이원형 박사, XP바이오) 등의 강의가 펼쳐졌습니다. 연자들은 모두 구제역을 접근함에 있어 공통적으로 '백신에 대해 보다 솔직해지자'고 말했습니다. '구제역 백신은 구제역 질병의 발생 자체를 막아줄 수 없다'는 전제 하에 구제역에 대한 보다 나은 해법을 접근하자는 것입니다. 박종현 박사는 "백신 접종만으로
회장염, 한 가지 주제만을 깊게 다룬 의미있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지난 3일 대전 호텔인터시티에서 '제1회 아시아 회장염 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포럼은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사장 서승원, 이하 베링거인겔하임)이 주관해 열렸으며 전국의 양돈관련 현장수의사 및 조합·기업의 방역책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회장염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과 해답,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회장염은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rar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으로 정식 질병명은 '돼지 증식성 장염(porcine proliferative enteropathy)' 입니다. 육성·비육돈에서 사료효율 및 증체 저하, 높은 폐사 등으로 많은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는 질병입니다. 농장에서는 이를 컨트롤하기 위해 항생제 및 백신, 소독제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장염균은 대부분의 농장 안과 밖, 모두에 존재한다 기조 발표에 나선 전북대학교 조호성 교수는 '최근 연구 경향' 발표를 통해 "회장염에 대한 전세계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보니, 아직까지 이에 대해 아는 것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전제하고, 먼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회장염균은 돼지에만
글로벌 제약사와 진단전문기업이 손잡고 휴대용 진단 솔루션 개발에 나섭니다. 이 솔루션은 마치 실험실을 갖고 다니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선 진단 대상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하 ASF)입니다. 글로벌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과 GNA바이오솔루션즈(GNA Biosolutions, 이하 ‘GNA’)이 ASF의 신속한 진단 검사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협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검사법은 GNA의 '휴대용 분자 진단(Portable molecular testing)' 플랫폼과 함께 사용하는 것입니다. 휴대가 간편하지만, 진단 속도와 민감도(정확도)는 실험실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어 방역 현장에서의 빠른 진단과 이를 통한 빠른 대처를 가능케 해 줍니다. 이번 플랫폼 개발은 ASF와 같은 치명적인 질병이 전세계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우선 목표입니다. 현재로서는 ASF가 얼마나 멀리 확산될지 확실치 않아서 많은 나라의 돼지 거래와 공급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 라스 울레르리치(Lars Ullerich) GNA 공동 설립자 겸 상무이사는 “동물 보건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인 베링거 인겔하임과 협업 계약을 체결해 기쁘다. 이 협업은
모돈의 통증과 염증 관리에 있어 기존 주사제를 대신할 새로운 경구용 제품이 선보입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사장 서승원, 이하 베링거인겔하임)은 오는 3월 1일 양돈 전용 경구용 소염·진통·해열제인 '메타캄®양돈용 현탁액(이하 메타캄)'을 국내에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메타캄은 통증 및 염증 유발인자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합성을 억제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성분(NSAIDs)의 일종인 '멜록시캄'이 주성분으로서, '경구' 투여를 통해 분만 후 모돈의 빠른 산후 회복을 도울 뿐 아니라 모돈의 연산성과 포유자돈의 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메타캄은 다산성 모돈이 주를 이루는 유럽에서는 분만 후 모돈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덴마크, 스페인, 독일 등에서는 이미 10년 이상의 현장 적용 경험을 통해 그 효능을 널리 입증했다는게 회사측의 설명입니다. 베링거인겔하임 양돈사업부 조보종 상무는 “그간 유럽의 선진 양돈 관리 프로그램을 경험한 양돈수의사들로부터 메타캄의 국내 출시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며 “앞으로 다산성 모돈이 과반수를 넘어선 우리나라에서도 메타캄이 동물복지 증진과 농장의 생산성 향상 등
현재 다산성 모돈을 갖고 있거나 앞으로 계획이 있는 분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 다산성 모돈 관련 최신 외국 전문 서적이 한글로 번역되어 출간되는데 선착순 무료로 배포됩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사장 서승원, 이하 베링거인겔하임)는 글로벌 수의·양돈 전문 출판사인 ‘세르벳’ (SERVET)의 ‘Management of the Hyperprolific Sow(2017, 이하 다산성 모돈의 관리)' 책자를 쉬운 우리말로 번역·출간했다고 밝혔습니다. '다산성 모돈의 관리' 책자는 지난 2017년 스페인의 양돈 전문가인 '루이스 산조아킨 로메로 교수(Prof. Luis Sanjoaquín Romero)가 저술하였는데, 최근 전세계적으로 일반화되고 있는 고능력의 다산성 모돈 관련 농장의 사양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관련 사이트). 이를 통해 농장으로 하여금 번식성적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수익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국내 번역에는 다년간의 현장 경험이 많은 수의전문가들이 참여했습니다. 고상억(발라드동물병원), 윤영희(돼지와건강), 양승혁(발라드동물병원), 김동욱(한별팜텍) , 정여택(PMC동물병원), 오유식(베링거인겔하임) 수의사 등 입
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이 지난 1월 메리알코리아를 공식적으로 통합하고 새로운 법인명 '한국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사장 서승원, 이하 베링거인겔하임'으로 출범했습니다. 2017년 1월 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과 메리알코리아의 한국지사간 합병이 진행된 후 2년 만의 일입니다. 이로서 메리알코리아는 역사 속의 기업이 되었습니다. 또한 메리알코리아의 대표적인 제품인 리니파-티(AR 백신), 네오콜리퍼(대장균 설사 백신), 이보멕(구충제) 등은 베링거인겔하임의 이름으로 공급됩니다. 이에 베링거인겔하임은 지난 1월 11일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2019 킥오프 미팅에서 전 직원과 함께 새로운 법인 출범을 기념하고 축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서승원 사장은 "베링거인겔하임은 앞으로도 양돈, 양계, 축우 등 산업동물의 질병예방 및 고품질의 신선한 축산물 생산, 그리고 반려동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최고 품질의 동물약품을 제공하고, 수의사와 고객 그리고 농장주들에게 신뢰 받는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최고의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베링거인겔하임의 기존 동물약품 홈페이지가 베링거인겔하임의 홈페이지로 통합되었습니다(바로가기).
베링거인겔하임동물약품(사장 서승원, 이하 베링거인겔하임)은 농장 스스로가 PRRS와 관련된 농장 내 잠재 위험요소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도구인 “COMBAT(콤뱃)” 앱(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하였다고 밝혔습니다. COMBAT 앱은 ▶내부 위험요소 ▶외부 위험요소 ▶위치적 위험요소 ▶사양관리 및 돈군 흐름상 위험 요소의 총 4가지 범주로 평가가 구성되어 있으며 총 55가지 질문을 통해 농장에서 PRRS 관련된 위험요소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각각의 질문 및 중요도는 기존의 논문이나 전문가에 의해 평가된 이전 위험요소 평가프로그램을 토대로 이루어져 상당히 신뢰성이 있고 정확도가 높다는게 베링거인겔하임의 설명입니다. 모든 항목을 평가 완료 하였을 경우 결과를 표로 확인 해 볼 수 있습니다. 내부 위험도(가로축), 외부 위험도(세로축), 사양관리 위험도(원의 크기), 농장 위치에 따른 위험도(원의 색깔)를 결과표를 통해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더욱이 다른 농장과의 상태 비교를 통한 벤치 마킹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는 PRRS와 관련된 각 위험 요소별 중요도에 따라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농장에서의 PRRS 컨트롤에 있어 업무의 우선
산청군의 명품 '산청흑돼지(관련 기사)'가 국제가축등록시스템에 등재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에서 보존·육종한 6축종 15자원(품종·계통)이 '유엔식량농업기구(UN FAO)'가 운영하는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새로 등재됐다고 최근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지난 6월 24일 외부 전문가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총 18자원을 대상으로 자원 특성, 보존 현황, 생산성, 집단 구성 등 14개 항목을 심의해 최종 돼지·소·닭·개·토끼·호로새 등 15자원을 선정했습니다. 이로써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우리나라 자원은 22축종 155자원에서 23축종 170자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번에 새로 등재된 가축 가운데 돼지는 ▶산청흑돼지 ▶K-자돈이 ▶K-자돈이 백색 등 3자원입니다. 역대 34번째, 35번째, 36번째 등록 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한만희 센터장은 “이번 등재로 우리 고유 가축유전자원의 위상이 국제적으로 높아졌으며, 유전자원 주권 확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라며 “자원 보존과 활용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미래형 축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습니다. 한
지난 금요일(11일) 이재명 대통령이 퇴근 후 서울의 한 삼겹살 전문당에서 대통령실 직원과 식사를 하는 장면이 공개되어 화제입니다. 이날 대통령은 식당 관계자뿐만 아니라 식당을 찾은 시민들과도 스스럼없이 대화를 했습니다. 식사 후 SNS에 이 대통령은 "금요일 퇴근길, 직원들과 저녁 식사를 함께했다. (또한) 가게 사장님과 직원분들, 식사하러 오신 손님들과 마주 앉아 실제 체감하는 경기 상황과 물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도 가졌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골목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오는 21일부터 시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소비를 촉진해 침체된 골목상권에 온기를 불어넣고,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주길 기대한다. 내수 회복을 위한 후속 대책도 선제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전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다양한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열정! '이기홍'
한돈발전, 정부와 국회를 설득할 유일한 후보 '한동윤'
내 일처럼 해결하는 실천형 리더 '구경본'
제21대 대한한돈협회 회장 선거(10.14일)를 위한 기호 추첨 행사가 8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추첨 결과 기호 1번은 구경본 후보(전북 진안), 기호 2번은 이기홍 후보(경북 고령), 기호 3번은 한동윤 후보(경북 영천)로 결정되었습니다. 공교롭게 나이순(각각 '66년, '67년, '73년생)입니다. 모두 50대입니다. 이들은 이날부터 오는 10월 13일까지 이름과 함께 기호를 알리는 선거운동을 벌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