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의 출하체중이 해마다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년도별 돼지출하체중 자료를 보면 2016년 한돈의 평균 출하체중은 115kg 입니다. 이를 암퇘지와 수퇘지로 나누어 보면 각각 117kg, 114kg 입니다. 2002년 출하체중과 비교해 보면 평균 8kg가 증가한 셈이며 특히 암퇘지의 경우 9kg가 증가했습니다. 한돈의 품질 향상 요구와 규격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출하체중이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돈가 호조에 따른 영향도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참고로1985년 한돈의 평균 출하체중은 91kg 였습니다. 한 유통 관계자에 따르면 '앞으로도 출하체중은 시장의 요구에 의해 당분간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하고 '다만, 수퇘지의 경우 거세돈 특유의 떡지방 관리가 되어야 한다.'고 이에 대한 관리를 당부했습니다. 한편 외국의 돼지 출하 체중을 보면 2012년 기준 독일은 121kg, 프랑스는 116kg, 브라질은 118kg 미국은 123kg 입니다.
작년 양돈 산업에서의 항생제 판매량은 약 496톤으로 전체 판매 항생제의 53.9%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가 지난 10일 공개한 '2016년도 국가 항생제 사용 및 내성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도 총 항생제 판매량은 총 921톤으로 추정되며 이 가운데 돼지가 496톤, 수산용이 236톤, 닭이 122톤, 소가 67톤이라고 밝혔습니다. 총 항생제 판매량은 '08년 이후 감소하여 '13년 765톤으로 가장 적게 판매되었으나, 이후 점차 증가하여 '16년에는 '13년 대비 20%가 증가하였습니다. 돼지에서의 사육두수 증가에 따른 항생제 사용량의 자연 증가분이 주 요인입니다. 검역본부는 일반적으로 항생제 판매량은 그 해 가축 사육두수, 질병 발생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며 국내 가축 사육 두수는 항생제 판매량이 높았던 '08년에 비해 '16년 사육두수가 소는 약 9%, 돼지는 약 12%, 닭은 24% 증가하여 실제 농가에서 사용된 항생제는 감소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작년 항생제의 판매량을 성분별로 조사한 결과 테트라사이클린 계열과 페니시린 계열 항생제가 가장 많이 판매가 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판매
양돈업은 '규모의 경제'이어야 합니다. 최근 발행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축산관측 '돼지' 6월호에는 지난달에 이어 우리나라와 주요 양돈국과의 생산지표가 소개되었습니다. 이번 호에는 '비육돈 kg 당 사료비'와 '지육 kg 당 생산비' 입니다. 당연히 둘다 수치가 적을수록 좋은 것입니다. 주요국의 비육돈 kg당 사료비를 먼저 보면 우리나라가 1,468원인 가운데 독일 1,389원, 스페인 1,529원, 프랑스 1,408원, 덴마크 1,353원, 네덜란드 1,408원, 미국 1,133원, 캐나다 1,188원 등 입니다. 우리나라와 비교해 대다수 국가의 비육돈 kg당 소요되는 사료비가 낮은 수치를 보인 가운데 미국이 가장 낮아 1,133원으로 우리나라보다 335원이 적습니다. 특이하게 스페인은 1,529원으로 우리나라보다 61원이 높습니다. 다음으로 지육 kg당 생산비를 보면 우리나라가 2,696원이며 독일 2,350원, 스페인 2,156원, 프랑스 2,288원, 덴마크 2,244원, 네덜란드 2,409원, 미국 2,068원, 캐나다 1,793원 입니다. 비교한 모든 국가의 생산비가 우리나라보다 낮으며 적게는 287원부터 많게는 903원 차이가 납니다. 한편 스페
2016년 비육돈의 생산비와 순수익 모두 전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6일 통계청은 '2016년 축산물생산비 조사'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소, 돼지 및 닭 사육농가 등을 대상으로 2016. 1. 1 ~ 12. 31까지의 가축사육 및 생산에 투입된 직․간접 비용을 조사한 자료 입니다. 비육돈 관련 구체적으로 보면 ´16년 비육돈 생체 100kg당 생산비는 사료가격 하락으로 전년보다 3천원(-1.0%) 감소한 26만7천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그리고비육돈 마리당 순수익은 돼지가격 하락으로 총수입이 줄어 전년보다 1만5천원 감소한 8만2천원입니다. 농장의 규모별 생산비와 순수익을 보면 생산비는 250~321천원이며 순수익은 24~97천원입니다. 1000두 미만 농장과 3000두 이상의 농장의 생산비와 순수익 격차가 여전히 상당한 것으로 파악이 되었습니다. 한편 ‘16년 축산물생산비는 한우비육우를 제외한 모든 축종에서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계란은 7.4%, 송아지는 3.6%, 육계는 2.6%, 육우는 1.8% 생산비가 줄어들었으며 이는 사료가격 하락에 따른 사료비 감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한우비육우는 사료가격 하락
MSY는 Marketted-pigs per Sow per Year의 줄임말로서 '년간 모돈당 출하두수'를 말합니다. 우리나라 양돈산업에서 대표적인 양돈 생산 지표로서 널리 사용됩니다. MSY가 농장의 절대적인 생산 지표가 될 수 없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워낙 농장생산성이 양돈선진국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고 수요 대비 생산이 적어서 매년 많은 돼지고기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상황에서 MSY가 생산성의 주요 지표로서 주목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입니다. 주요 양돈선진국과 우리나라의 MSY를 비교해보면 2015년 기준 우리나라 MSY는 17.9두로서 덴마크 29.2두와 11.3두 차이가 나며, 네덜란드(28.1두)와는 10.2두, 독일(27.2두)와는 9.3두가 차이가 납니다. 미국(23.0두)과 캐나다(22.7두)와도 각각 5.1두, 4.8두 차이가 납니다. 다른 대표적인 양돈 생산 지표로서 PSY가 있습니다. PSY는 PigsWeanedper sow per year 의 줄임말로서 '년간 모돈당 이유자돈수'를 말합니다. 앞서 MSY와 마찬가지로 주요 양돈선진국과 PSY를 비교하면 MSY 차이 보다는 적지만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015년
지난 27일’17년 1/4분기(3월 1일 기준) 가축동향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가축사육마릿수는 전년동기대비 한ㆍ육우, 돼지는 증가하고, 젖소, 산란계, 육계, 오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돼지 사육두수는 1,032만 8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만 2천 마리(0.1%) 증가하였으며 모돈 증가에 따른 자돈 생산 증가가 주요 이유입니다.전분기대비는 3만9천두(0.4%)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지역별 돼지사육현황을 보면 충남이 209만두로 가장 많은 돼지를 사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수도 866가구로 가장 많았습니다. 뒤이어 경기도가 184만두, 826가구수로 사육규모 면으로 충남 다음입니다. 가구당 사육두수는 강원도가 3,070두로 1위이며 뒤이어 경북(2851두) 순입니다. 한편 다른 축종의 사육두수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한‧육우: 264만 2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4만 6천 마리(1.8%) 증가 ○ 젖소: 40만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9천 마리(-2.1%) 감소 ○ 산란계: 5,160만 8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1,857만 마리(-26.5%) 감소 ○ 육계: 7,933만 2천 마리로 전년동기대비 720만 9천 마리(-
지난 25일 한국농업경제연구원의 농업관측본부는 3월 돼지 사육 두수가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관측본부는 올 3월 기준 모돈 사육 두수를 전년 동월 보다 증가한 98만 두 내외라며 이는 '16년 후보돈 입식증가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3월 돼지 총 사육 두수를 전년 동월보다 1% 내외로 증가한 1,030~1,050 만두로 추정했습니다. 3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53만 6,096톤으로 전월보다 7.7% 증가하였으나 전년 동월 수준이었으며 모돈용 사료는 9만 7,535톤으로 전월보다 9.3%, 전년 동월보다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관측본부는 6월과 9월의 모돈 사육두수는 3월보다 증가한 공히 98~100만두로 전망했으며 총 사육 두수는 각각 1,040~1,060만두, 1,070~1,090만두로 예상했습니다.
올들어 3월까지 작년에 비해 돈사 화재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국민안전처 국가화재정보센터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돈사화재 발생 건수는 총 55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 65건에 비해 10건이 줄어 15.4%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년중 월별 돈사 화재 발생 경향을 보면 돈사 화재는 매월 발생하고 있으며 하절기에 가장 낮고 10월부터 3월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겨울철 보온에 따른 축사 내부의 습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기 누전 발생율이 높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돈사 화재의 원인 중 전기적 요인이 과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한편 '돼지와사람'은 지난 2월부터 대한한돈협회와 함께 '돈사화재 반으로 줄입시다'라는 제목으로 캠페인을 펼치고 있습니다. 2018년까지 2016년 177건의 반인 89건 이하가 캠페인의 목표입니다.
산청군의 명품 '산청흑돼지(관련 기사)'가 국제가축등록시스템에 등재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에서 보존·육종한 6축종 15자원(품종·계통)이 '유엔식량농업기구(UN FAO)'가 운영하는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새로 등재됐다고 최근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지난 6월 24일 외부 전문가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총 18자원을 대상으로 자원 특성, 보존 현황, 생산성, 집단 구성 등 14개 항목을 심의해 최종 돼지·소·닭·개·토끼·호로새 등 15자원을 선정했습니다. 이로써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우리나라 자원은 22축종 155자원에서 23축종 170자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번에 새로 등재된 가축 가운데 돼지는 ▶산청흑돼지 ▶K-자돈이 ▶K-자돈이 백색 등 3자원입니다. 역대 34번째, 35번째, 36번째 등록 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한만희 센터장은 “이번 등재로 우리 고유 가축유전자원의 위상이 국제적으로 높아졌으며, 유전자원 주권 확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라며 “자원 보존과 활용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미래형 축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습니다. 한
지난 금요일(11일) 이재명 대통령이 퇴근 후 서울의 한 삼겹살 전문당에서 대통령실 직원과 식사를 하는 장면이 공개되어 화제입니다. 이날 대통령은 식당 관계자뿐만 아니라 식당을 찾은 시민들과도 스스럼없이 대화를 했습니다. 식사 후 SNS에 이 대통령은 "금요일 퇴근길, 직원들과 저녁 식사를 함께했다. (또한) 가게 사장님과 직원분들, 식사하러 오신 손님들과 마주 앉아 실제 체감하는 경기 상황과 물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도 가졌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골목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오는 21일부터 시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소비를 촉진해 침체된 골목상권에 온기를 불어넣고,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주길 기대한다. 내수 회복을 위한 후속 대책도 선제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전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다양한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열정! '이기홍'
한돈발전, 정부와 국회를 설득할 유일한 후보 '한동윤'
내 일처럼 해결하는 실천형 리더 '구경본'
제21대 대한한돈협회 회장 선거(10.14일)를 위한 기호 추첨 행사가 8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추첨 결과 기호 1번은 구경본 후보(전북 진안), 기호 2번은 이기홍 후보(경북 고령), 기호 3번은 한동윤 후보(경북 영천)로 결정되었습니다. 공교롭게 나이순(각각 '66년, '67년, '73년생)입니다. 모두 50대입니다. 이들은 이날부터 오는 10월 13일까지 이름과 함께 기호를 알리는 선거운동을 벌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