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에 오염된 다량의 익히지 않은 생돼지고기를 몰래 반입하려다 적발된 베트남 유학생이 경찰에 체포되었다고 일본 언론들이 23일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日 베트남 유학생, ASF에 오염된 돼지고기 밀수 혐의로 체포@ANN 뉴스 일본 언론들은 경시청의 보도자료를 인용해 이 유학생은 지난달 13일 하노이 공항을출발해 하네다 공항으로 입국하려 했으며, 입국 과정에서 오리알 360여 개와 함께 돼지고기 약 10kg를 숨겨 일본 내로 몰래 반입하려다 검역관에 적발되었다고 전했습니다. 돼지고기는 350개,낱개 단위로바나나 잎에쌓여져 있었으며, 검사 결과 ASF 바이러스 유전자가 확인되었습니다. 감염성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익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감염성이 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합니다. 일본에서 여행객의 돼지고기 휴대축산물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예는 지금까지 모두 56건 입니다(23일 기준). 이번 사례가 양으로는 역대 최대이며, 밀수 혐의로 체포된 경우는 최초의 일입니다. 앞서 감염성이 있는 바이러스가 확인된 예는 2건이 있습니다(관련 기사).
지난 15일 YTN이 '도살하지 않고 배양해 먹는 고기, 배양육 상용화될까?' 라는 제목의 기사(바로보기)를 내었습니다. YTN은 '축산산업이온실가스뿐만 아니라 도축 과정에서 비윤리성 문제 등을 안고 있는 가운데 실험실에서 세포 배양을 통해 생산을 하는 배양육이 미래 먹거리로서 상용화가 기정사실화 되었다'며, '하지만,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우려와 기존 축산업계의 반발 등이 있어서 이를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상용화의 확산 속도가 정해질 것이다'고 전했습니다. 최근 몇 년사이 거대 공룡 화학기업들이 농업 분야에 진출하며 대체육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우케미칼'과 '듀폰'이합병하여 1,450억 달러 농화학 공룡기업이 되었습니다. 중국 국영 화학 기업인 '켐차이나'는지난 2017년스위스의 세계적 씨앗 농약업체인 '산젠타'를 430억 달러(약 49조 1920억)에 인수하였고, 이어서 대형 정유 화학사인 '시노켐'을 합병하여 자산 규모 1200억달러(약 134조 8000억) 세계 최대 화학기업이 되었습니다.2018년 '바이엘'은 67조원에 '몬산토'를 인수 완료하였습니다. 이들 기업은 모두 대체육 개발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이익을
OMN!Pork(新猪肉)새로운 돼지고기 Ignite your green senses with your healthy and innovative plant based dishes(건강하고 혁신적인 식물 기반의 요리로 녹색 감각을 불어 넣으십시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여전히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중국에서의 합법적인 가짜 돼지고기(제품명 '옴니포크, 新猪肉')입니다. 홍콩의 푸드테크 기업 '라이트 트리트(Right Treat)'가 완두콩, 표고버섯, 쌀 등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을 이용해 만들어 홍콩과 마카오 등 식당과 온라인 등에서 실제 판매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성공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한돈산업이 주목하고 경계해야 할 하나의 대체육 제품일 것입니다.
7월 들어서도 돼지열병 발생이 그치지 않는 가운데 일본의 나가노현(長野県)에서 돼지열병에 감염된 야생멧돼지가 처음으로 그것도연달아발견되면서 일본 사회를 더욱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나가노현 정부는지난 8일 현 내에서 죽은 채 발견된 야생멧돼지에 대한 검사 결과 최종 '돼지열병 양성'이라고 13일 밝혔습니다. 나가노현에서 양성 개체가 발견된 것은 처음있는 일입니다. 그리고 현은 이어 12일 포획된 야생멧돼지와13일과 14일 폐사된 야생멧돼지에서도 추가 양성이 확인되으며, 이로서 현 내에서 발견된 돼지열병 양성 야생멧돼지는 모두 4두로 늘어났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본에서는지난달 돼지열병에 감염된 야생멧돼지 개체수가 193두(포획 및 사체)를 기록해 지난해 9월 돼지열병 사태 이후 월 최고기록을 경신했습니다. 5월(132두)에 비해서는 46%나 증가했습니다. 또한, 6월미에현(三重県)에서도 처음으로 양성 야생멧돼지 개체가 확인되었습니다. 그리고 7월에는 이번 나가노현에 앞서 후쿠이현(福井県)에서 양성 야생멧돼지가 또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일본의 돼지열병은 야생멧돼지에서 먼저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돼지열병이 처음 발생한 곳은 지난해 9월 기후현(岐
베트남에서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의해 현재까지 돼지 330만 두를 잃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올해 2월 19일 첫 발병을 공식화한 이래 143일만의 일입니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는11일 'ASF 예방 및 통제 솔루션' 회의를 개최하고, 이 자리에서 11일 기준 ASF가 62개 성·시, 513개 지역, 5,422개 마을공동체(코뮌)에서 발생한 가운데 돼지 330만 두를 살처분·매몰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현재 ASF가 발병하지 않은 성은 닌 투안(Ninh Thuan)이 유일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회의에서베트남 관계자는 'ASF는 환경에 오래 살아남을 수 있고, 전파 경로가 매우 다양해 제어하기 어렵다. 또한, 전국에돼지를 사육하는 소규모 가구가 250만 호에 달하는 가운데 돼지 혹은 돼지사료의 운송, 차단방역 실시 등에 있어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현재 ASF의 전국 확산에 대한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7일 테이 닌(Tay Ninh)에서 ASF 첫 발병 확인@투 오이 트레 유튜브 한편 가장 최근인 7일베트남 테이 닌(Tay Ninh) 성(省)에서 ASF의 발병이 첫 확인되었습니다. ASF가 아직 발병하지 않은 닌 투안(Ni
일본의 돼지열병 발병이 7월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발생지 주변 야생멧돼지에서돼지열병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농장의 차단방역으로만으로는 막아내기 어려운 듯 보입니다. ▶10일 기후현 히치소정 돼지열병 발생 보도@CBC뉴스 일본은 3일과 8일, 그리고 10일 각각 ▶기후현 에나시(4,794두 규모)▶아이치현 나가쿠테시(577두)▶기후현 히치소정(409두)의 양돈장에서 돼지열병이 확인되어 긴급 살처분과 함께 방역조치를 취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발생으로 일본의 돼지열병 발생 건수는 지난해 9월 첫 발병부터 현재까지 모두 31건으로 늘어났으며 살처분 두수도 12만2천 두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돼지열병으로 살처분된 농장수는 65곳입니다. 그런데 이들 가운데 재입식이 이루어진 농장은 한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아직까지 돼지열병 사태가 계속 이어지고 있어재입식을 생각할 겨를이 없어 보입니다. 한편 돼지열병 관련 일본 양돈농가의 실제 두려움의 대상은 야생멧돼지 입니다. 일본은 최초 돼지열병이 야생멧돼지에서 시작해 양돈장으로 전파되었다고 믿고 있습니다. 현재(9일 기준)까지 야생멧돼지에서 돼지열병이 확인된 사례가 746두입니다. 최초 돼지열병이 시작된 기
6월 식량가격지수가 173포인트를 기록, 년초부터 계속된 상승세가 6개월 만에 꺾이며 다소 주춤세를 보였습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자료(바로가기)에 따르면 6월 식량가격지수는 전월 173.5 포인트 보다 0.3% 하락한 173.0 포인트를 기록, 올 초부터 시작된 식량가격지수의 상승세가꺾이며, 다소 주춤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년과 비교해서는 0.2% 상승입니다. 품목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곡물·설탕·육류는 상승했고, 유제품·유지류는 하락했습니다. 곡물의 경우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전달보다 6.7% 상승한 173.2 포인트입니다. 특히나, 옥수수 가격 급등이 눈에 띱니다.주로 세계 최대 옥수수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미국의 옥수수 수출 가용량 감소 전망에 따른 것입니다. 미국은 이상 기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설탕은 5월보다 4.2% 상승한 183.3 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설탕 생산자들이 사탕수수를 설탕이 아닌 에탄올로 가공해 브라질산 설탕 공급에 영향을 미친 것과 EU 국가들의 수출량 감소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육류는 1.5% 상승한 176.0 포인트 입니다. 육류 가격은 연초부터 완만한 오름세를 보였으며, 아시아 지
북한에서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현재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의 확산을 막기 위한 북한당국의 조치가 미흡하다는 소식입니다. 북한 관련 뉴스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는 국내 언론사인 '데일리 NK'는 5일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또…北, 대응 나서지만 실상은 허점투성이’라는 제목의 보도(바로보기)를 통해 '북한의 ASF가 평안남도의 전지역의 농장에 광범위하게 확산된 가운데 많은 피해를 보고 있고, 특히 평안남도 개천에서는 1500두의 돼지가 대량으로 폐사했다'며 내부 소식통의 말을전했습니다. 데일리 NK는 또한, '앞서 3월 양강도와 4월 황해북도 사리원에서 원인모를 돼지 폐사가 있었고, 이후 평안북도 신의주와 자강도 만포, 평양시, 평안남도 평성, 순천, 개천 등에서 ASF 발병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데일리 NK는 '이런 상황에서 북한 당국이 비상방역위원회를 조직해 관련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자재가 부족해 소독과 방역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심지어 폐사한 돼지고기가 암암리에 거래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은 5월 30일 자강도 우시군 내 협동농장에서 ASF가 발병했다고 국제기구에 보고한 바 있으
산청군의 명품 '산청흑돼지(관련 기사)'가 국제가축등록시스템에 등재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에서 보존·육종한 6축종 15자원(품종·계통)이 '유엔식량농업기구(UN FAO)'가 운영하는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새로 등재됐다고 최근 밝혔습니다(관련 기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지난 6월 24일 외부 전문가 심의위원회를 개최하고, 총 18자원을 대상으로 자원 특성, 보존 현황, 생산성, 집단 구성 등 14개 항목을 심의해 최종 돼지·소·닭·개·토끼·호로새 등 15자원을 선정했습니다. 이로써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우리나라 자원은 22축종 155자원에서 23축종 170자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번에 새로 등재된 가축 가운데 돼지는 ▶산청흑돼지 ▶K-자돈이 ▶K-자돈이 백색 등 3자원입니다. 역대 34번째, 35번째, 36번째 등록 돼지로 기록되었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한만희 센터장은 “이번 등재로 우리 고유 가축유전자원의 위상이 국제적으로 높아졌으며, 유전자원 주권 확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라며 “자원 보존과 활용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미래형 축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습니다. 한
지난 금요일(11일) 이재명 대통령이 퇴근 후 서울의 한 삼겹살 전문당에서 대통령실 직원과 식사를 하는 장면이 공개되어 화제입니다. 이날 대통령은 식당 관계자뿐만 아니라 식당을 찾은 시민들과도 스스럼없이 대화를 했습니다. 식사 후 SNS에 이 대통령은 "금요일 퇴근길, 직원들과 저녁 식사를 함께했다. (또한) 가게 사장님과 직원분들, 식사하러 오신 손님들과 마주 앉아 실제 체감하는 경기 상황과 물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시간도 가졌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골목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오는 21일부터 시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소비를 촉진해 침체된 골목상권에 온기를 불어넣고,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주길 기대한다. 내수 회복을 위한 후속 대책도 선제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전했습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
다양한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열정! '이기홍'
한돈발전, 정부와 국회를 설득할 유일한 후보 '한동윤'
내 일처럼 해결하는 실천형 리더 '구경본'
제21대 대한한돈협회 회장 선거(10.14일)를 위한 기호 추첨 행사가 8일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추첨 결과 기호 1번은 구경본 후보(전북 진안), 기호 2번은 이기홍 후보(경북 고령), 기호 3번은 한동윤 후보(경북 영천)로 결정되었습니다. 공교롭게 나이순(각각 '66년, '67년, '73년생)입니다. 모두 50대입니다. 이들은 이날부터 오는 10월 13일까지 이름과 함께 기호를 알리는 선거운동을 벌입니다. 돼지와사람(pigpeople100@gmail.com)